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주의 국가의 연극은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보일 수밖에 없다. 연극이 사회주의 체제를 대중들에게 선전·선동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때문이다. 북한은 김일성-김정일로 이어지는 권력 체제에서 연극을 대중들에게 이데올로기 주입 수단으로 활용했다. 즉 당의 유일사상체제를 위한 수단으로 연극을 활용했으며, 이를 통해 대중들을 선전·선동하려고 한다. 1990년대 북한 연극의 주류로 자리매김한 경희극 역시 이러한 정치적 의도가 내재되어 있다. 김정일은 1998년 헌법 개정 이후 본격적으로 선군정치를 자신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운다. 경희극에서도 선군정치를 담은 ‘군민일치사상’, ‘관군일치사상’을 주제로 하는 작품들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본고는 당시 대표적인 경희극 작가인 박호일의 <편지>와 <동지>를 분석한다. 우선, 북한에서 말하는 창작방법을 토대로 각 텍스트의 장면을 나누고, 장면 속에 내재된 목표의식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두 텍스트의 구조와 내용을 함께 분석하면서 <편지>의 군민일치사상, <동지>의 관군일치사상이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러한 텍스트 구조 분석을 기반으로, 국가 체제를 선전·선동하기 위한 플롯 상의 특징과 김정일을 중심으로 당시 북한이 어떤 방식으로 결속력을 높이려고 했는지를 분석한다.


Theater in socialistic nations cannot help but to rais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ince it was used as a means of propaganda by their governments. North Korea is also utilizing the theater as a vehicle to deliver ideologies of the government as it moved from the late Kim Il-sung to the Kim Jong-il political regime. The theater is being utilized for the purpose of their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through which they hope to instigate the North Korean general public. Light Comedy that have earned its place of fame in North Korean theater in the 1990’s also have undertones of political intentions. Kim Jong-il puts forward a military first policy as his ideal method of governance after the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in 1998. Military-civilian unity and military-government unity were used as main themes for Light Comedy. This study analyzes The Letter and Comrade by Park Ho-il, a representative playwright at the time. Based on the creative methods, or the Schaffensmethode of North Korea, the text and scenes are separated and evaluated to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ense of purpose, the results of which are used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the two texts to understand the military-civilian unity expressed in The Letter, and the military-government unity in Comrade.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the plot characteristics used to instigate the public and the system are evaluated while also evaluating how North Korea aimed to increase social cohesion centered around Kim Jong-il during th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