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근현대사 교육은 아직 정리되지 않은 역사라는 인식이 강하며, 이해 당사자 간의 의견이 엇갈리며, 논쟁 중인 주제가 많다는 점에서 ‘논쟁성’을 가지고 있다. 근현대사가 갖는 논쟁성은 토론식 등 전면적으로 논쟁성을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사실의 진위 여부, 사료의 맥락, 역사 해석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역사는 본질적으로 논쟁적인 학문임을 학생들로 하여금 가장 실감나게 경험해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의 근현대사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은 국가 중심의 서사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고, 사건이나 인물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해석의 가능성을 확인하며, ‘과거와 현재에 대한 통찰’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학생들은 역사수업에서 역사적 사실의 진위 여부보다, 수많은 과거의 사실들 가운데 교과서에 기록된 사실들이 왜 선택되었으며, 선택된 의도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역사교육의 주체로서 역사교육의 내용을 메타적으로 파악하고 스스로 역사 인식의 주체로 서는 과정이다.


Modern history remains controversial as opinions are still divided among stakeholders. History lessons on modern history can be designed to expose this controversy. This kind of class design can help students examine the authenticity of the historical fact, contextualize primary sources and build interpretation of the past on their own, thus leading to acknowledg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history. By implementing this lesson, students were able to critically approach nation-oriented narrative, identify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perceptions, and perform ‘insights into the past and the present.’ As a result, students earned the competence to understanding the selection process of certain historical facts in history textbooks and intentions behind it rather than memorizing various historical facts. This is a process in which students grasp the contents of history education meta-cognitively and stand as a subject of historical recogn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