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후기 儒者 이종휘의 『東史』 찬술 동기와 목적은, 우리 역사에서 나라의 시작과 발달 분화 통합의 양상을 밝혀 왕조 문물 풍습 민인 등의 계승관계를 해명하는 일을, 史蹟이 미미하더라도 그 의의를 음미하여 實狀을 구하고 새 자료도 탐색하여 보충하며, 그리하여 종래 학자의 식견 부족으로 올바르게 분간 못하고 그르친 사실서술을 바로 세우고 그 깊은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목표에서 고조선 특히 단군조선에 관해 그 사실이해를 네 부면에서 확고히 하고 있었다. (1) 단군조선에서 삼국에 이르는 승계과정을 밝혀 찬술하면서도 자신의 역사이해가 완벽하다고 여기지 않았다. 뒷날 학술이 더욱 발달 진전하여 후학 후진들이 새롭게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자료 및 활용태도). (2) 중대한 일은 그 자취가 어슴푸레 하더라도 살피고 추정하여 역사상을 끌어내어야 하되, 이 작업은 자기의 역사는 물론이고 남의 역사를 잘 이해하여야 하는 데서 가능하다는 것, 그리고 이 두 가지 점은 역사는 역사의 사실 및 선택과 결부되어 인식되고 서술되는 만큼, 이 선상에서 그 지향 및 제시가 확연해야 사적이 해득될 수 있다는 사실(史蹟의 解得料量), (3) 이러한 역사 진행의 動力은 正德 利用 厚生이 계속하여 이어지고 발전하는 데 있으며, 그 가치와 힘은 德 功 言으로 구현되고 전해진다는 것(歷史의 動力과 그 標準), (4) 이상의 사실이해에 입각하여 본 역사찬술을 완수하기 위한 최선의 방도로서 紀傳體로 엮는다는 것(編史設計와 體裁) 등이다. 그는 유자이면서도, 위와 같은 사실이해 찬술자세는, 朱子類의 通鑑型 綱目法과 다르고 성리학식의 正統論 道統觀과도 간격이 크다. 이종휘는, 이러한 사실이해를 바탕으로, 단군조선의 역사와 문명이 부여 예맥 및 기자 마한으로 이어짐으로써 고구려 백제 신라가 단군 기자 마한과 종족과 문물을 함께하게 된다는 三國觀을 정립할 수 있었다. 아울러 민인과 더불어 疆域에서도 만주와 한반도는 하나로 묶여 일관되게 그 신축사정을 역사정황에 근거하여 추구하고, 이를 地誌 차원에서도 간명하게 지목할 수 있었다.


Yi Jong-hui, a Confucian scho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stated his view on Old Joseon, and on Dangun Joseon in particular, in four aspects in his book Dongsa. First, while Yi Jong-hui compiled the history of succession which began from Dangun Joseon and led to the Three Kingdoms, he did not consider his findings to be flawless. Rather, he expected that future developments in the field would enable his successors to newly make use of his findings (data and attitude towards its usage). Second, Yi Jong-hui understood that one should determine one's historical perspective of important events by closely observing and assuming their traces, however vague the traces should be. This, nevertheless, should be based on a solid understanding of one's own history as well as the history of others. Yi Jong-hui further pointed out that as history is acknowledged and described in tandem with historical facts and choices, and that its aim and directions should be straightforward for the interpretation of such historical documents (ideas for understanding historical documents). Third, he defined the forces behind such historical process a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rue virtue (jeongdeok), economic enrichment (yiyong) and public welfare (whosaeng) and posited that its value and power are realized through virtue (deok), labor (gong) and writings (eon) (force and the standards of history). Fourth, based on such understandings, Yi Jong-hui argued that the compilation of annals was the ideal way to narrate history (design and format of historical compilation). While he was a Confucian scholar, Yi Jong-hui's historical description based on factual understanding differed from the tonggam gangmok type of historical description used by the school of Zhu Xi as well as the neo-Confucian society. Based on such factual understanding, Yi Jong-hui established his theory on the Three Kingdoms, positing that the history and civilization of Dangun Joseon went on to Buyeo, Yemaek and Kija Mahan, and that Goguryeo, Baekje and Shilla shared the tribes and the civilization with Dangun Kija Mahan. Yi Jong-hui was further able to pursue historical findings on the people and territory of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as a single concept based on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to provide topographic explanations to support such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