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차상찬을 비롯한 개벽사 중추 인물들의 ‘조선문화의 기본조사’는 일본인 자본가의 경제 침략과 조선총독부의 통치 정책에서 비롯된 민족구성원의 당면 문제를 통계와 구술 방법 등의 근대적 조사방법론을 적용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또한 이들의 조사는 개별 지방의 내력과 과거의 전통 유산에 초점을 맞추어 민족적·민중적 정서를 보존·계승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비록 조사 과정에서 빠듯한 경비와 촉박한 일정, 자료 수집의 애로로 말미암아 조사 시기가 지연되었지만 신사회·신문화 건설의 역사적·사회적 기반을 구축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차상찬 등 개벽사 중추 인물들의 조사 작업은 지식·정보의 민주적 공유와 민족 차원의 확산을 통해 민족적 정체성을 수립함과 동시에 일제가 야기한 한국 민중의 총체적 난국에 민족적 대단결을 통해 공동 대응함으로써 주권을 상실했음에도 한국인이 통치 지식의 독점자인 일제에 저항하면서 현실의 당면 과제를 스스로 타결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고 하겠다. 이 가운데 통계를 활용한 지역 사정 분석은 민족주의 계열 및 사회주의 계열 식자층과 상호 영향을 미쳤을뿐더러 후일 이여성·김세용의 숫자조선연구(1931~1935)로 귀착되었다. 이러한 조사 결과 연재물 역시 일제가 자국의 이익을 펼쳤던 조선 통치의 실상과 함께 한반도와 한국인에 대한 차별 시책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Basic Investigation of Joseon Culture” by Cha Sang-chan and other key figures of Gaebyeoksa was to scientifically analyze the problems caused by Japanese capitalists’ economic invasion and the Joseon Governor-General’s ruling policy and then to propose solutions to those problems. For this investigation, they used modern research methodologies. The investigation was also aimed at preserving national and public mentality, focusing on local history and heritage. Although the investigation had been delayed due to the issues of cost, schedule, and data collec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it could be a foundation of new society and culture. In reality, the investigators refused not only the knowledge inherited by the conservative ruling class but also the secretive or glorified forms of knowledge produc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 Instead, the investigators tried to produce new knowledge together with Korean people, which ultimately could contribute to creating an intellectual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new society and culture. It was remarkable that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e reality of ethnic discrimination, by reconstructing the statistical data presented by the Japanese Empi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