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교과서의 서술 관점과 서사를 식별하고 분석해내는 능력은 역사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예비교사들이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사를 분석하고,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및 인식 형성 과정을 성찰하는 활동 사례를 다뤘다. 예비교사들은 다섯 종 역사교과서의 한국전쟁 서술에 나타난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활동으로부터, 전형적 서사와 대항 서사를 인식하고, 각각에 대한 자기 견해를 표명하는 활동 과정을 거쳤다. 이 때 자신의 한국전쟁 인식 형성에 작용한 요인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자기반성을 함께 진행했다. [수업일기] 과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 예비교사들의 자기반성과 성장의 지점은 교사교육에 매우 시사적이다. 첫째, 예비교사 다수는 역사교과서 서술의 차이점을 분석할 때 서술 관점 등을 그 기준으로 충분히 활용하지 못했다. 상대적으로 낯선 대항 서사에 대한 역사지식이 추가적으로 주어졌을 때 비로소 서술 관점의 차이에 내포된 교육적 의미를 좀 더 적극적으로 탐색했다. 둘째, 감성적인 역사서술과 객관적인 역사서술을 서로 대립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경향을 보였다. 역사교과서의 서술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믿음이 강했으며, 감성적인 서술이 이를 저해하는 것으로 보기도 했다. 셋째, 자신들이 과거 역사교육을 통해 습득한 전형적 서사 위주의 한국전쟁 인식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유연한 이해와 사유의 확장을 제약한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사의 폭넓은 역사 이해가 관점과 해석의 다양성을 보장하는 역사수업의 필수 요건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예비교사들의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역사교육에서 다원적 관점의 중요성, 다원적 관점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라는 과제의 시급성이 다시 확인되었다. 예비교사들은 교과서의 관점과 서사가 응집력 있는 사실 전달을 통해 과거를 이해하도록 하는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교육과정 설계자로서 교과서를 다각도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야 한다.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nalyze narratives of history textbooks is very important in the curriculum expertise of history teachers. In this article, I discussed the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 ‘Korean War’ narrative perform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he activities to reflect on their ow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ypical narrative’ and ‘controversial narrative’ and expressed their own views on each of them from the activities that analyze commonality and differences in the Korean War narratives of the five kinds of history textbooks. At this time, it was conducted wit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to critically review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formation of his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The point of reflection and growth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task of [class diary] is very suggestive in teacher education. First, many of the preliminary teachers did not fully utilize the narrative viewpoint as a standard when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textbooks. When the historical knowledge of the relatively unfamiliar narrative was additionally given, the educational meaning implied by the differences in narrative viewpoints was more actively explored. Second,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find emotional history and objective history narratives to be opposed to each other.,There was a strong belief that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should be objective and neutral, and emotional descriptions were also seen as hindering it.,Third,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which is based on typical narratives acquired through history education, has limited the flexibl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society and the expansion of thought., He also said that teachers' broad understanding of history is a prerequisite for history classes that guarantee diversity in perspective and interpretation.,Through the activities and results of the pre-service teachers, the importance of the pluralistic perspective and the urgency of the task of how to deal with the pluralistic perspective were confirmed again., Pre-service teachers should recognize that the perspective of textbooks and narratives exert more power than to understand the past through cohesive fact delivery, and as curriculum designers, they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utilize textbooks from various an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