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국사』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 『고등국사』 까지 고려시대 불교사 서술 내용을 검토한 연구이다. 이들 『고등국사』는 국정이거나 1종이었지만 사실상 국정이었다. 제3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기 국정 또는 1종 『고등국사』의 불교사 서술 내용은 시기가 지날수록 충실해지고 있다. 예컨대 고려전기의 현화사 중심의 법상종과 흥왕사 중심의 화엄종 주도, 무신집권과 조계종, 혜심의 유불일치, 양대 결사운동, 향도 등의 서술은 불교사의 흐름이나 내용을 더욱 충족시킨 것으로 고무적이라고 하겠다. 이렇듯 국정 혹은 1종의 교과서 서술편찬은 학계의 연구성과를 수용해 가며 서술 내용의 장점이 강화된 부분이 없지 않으나 제3차 교육과정기 이전의 『고등국사』의 그것보다 오히려 미흡한 불교사 서술 내용도 찾아진다. 국가 주도의 국정 교과서 편찬에서 오는 획일성 때문인 것이다. 이와 아울러 고려불교뿐만 아니라 전근대 불교를 현세구복불교나 호국불교라고 간주하거나 고려말 사원경제를 지나치게 강조하면서 유불교체가 마치 당연한 듯 기술한 것은 지양해야 것이다. 학계의 연구성과를 잘 수용하여 내용을 충실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난 교육과정기의 검인정 교과서에 실렸던 서술 내용을 재검토하여 교과서 내용을 더욱 충실하고 완성도를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is essa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accounts of the Buddhist history during the Koryo Dynasty in the Godeungguksa textbooks from the Third to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They were practically government issued textbooks. As the curriculum went through several changes, the accounts of the Buddhist history became richer. For instance, Beopsangjong(Housou Order) developing with Hyeonhwasa temple as its center, Hwaomjong(Huayan School) with Heungwangsa temple as its center, the Military Regime and the Jogye Order, Hyeshim’s ‘Buddhism and Confucianism are one’ idea, the Two Great Association Movements, and Hyangdo were gradually included in the accounts. Thus, it may be said that the government issued textbooks improved the contents by adopting new academic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However, some of their accounts are inferior to those of the textbooks published prior to the Third Curriculum. This was probably because of the excessive emphasis on uniformity under the government󰠏led textbook publication system. Furthermore, it must be rejected to characterize the nature of the Buddhism of the pre󰠏modern period as either seeking for present happiness or evoking patriotic spirit. Nor is it accurate to treat the replacement of Buddhism with Confucianism as a matter of course whiling placing too much emphasis on the temple economy. In writing history textbooks, it is important to have them faithfully reflect current scholarship. At the same time, we need to test and revise the contents of today’s textbooks in light of those of the textbooks from the previous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