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외른 뤼젠이 그의 역사의식 이론을 어떻게 역사교육적으로 적용하고 있는지를 다루고 있다. 그는 역사의식과 역사교육을 처음으로 접목시켰던 칼 에른스트 야이스만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며 발전시켰다. 야이스만과는 달리 뤼젠의 논의는 문화사적 전환의 영향을 받은 서사이론의 틀에서 역사의식을 이론화 하였다. 시간경험에 대한 서사행위로서 역사의식이 가지는 구성적이고 생산적인 특성으로 인해 뤼젠은 학습자들의 주관성과 그들의 관심이 역사의식의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주목하였던 것이다. 뤼젠은 역사교육을 역사학습에 대한 학문으로 이해한다. 그에게서 역사학습이란 역사의식을 학습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그것은 과거경험을 해석하여 방향설정 하는 역사의식의 활동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그는 역사학습을 경험, 해석, 방향설정이라는 세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여기서 관건은 이 세 차원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그는 역사학습의 목표로서 “내러티브 능력”을 제시했다. “내러티브 능력”은 역사 학습자들에게 과거경험을 해석하여 방향설정하면서 의미있는 삶을 가능하게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처럼 역사의식 이론에 기반을 둔 그의 역사교육적 논의는 역사의 고유한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무엇보다도 그의 역사교육적 논의는 2000년대 초반 독일에서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다양하게 제시된 역사적 역량모델들의 중요한 이론적 근간이 되고 있다. 그렇지만 한계 역시도 뚜렷하다. 학습자의 개체성과 다양한 정체성을 강조하는 그의 역사교육론에는 사회통합에 관한 논의가 부재하다. 그가 다원적 관점의 한계로 제기했던 상대주의의 문제와 갈등 잠재력의 문제가 그의 역사교육론에서도 그대로 답습되고 있는 것이다. 개체성과 다양성을 인정하면서도 사회통합을 도모하는 역사교육적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This article deals with how Jörn Rüsen applies his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in History Education. He critically inherited and developed Karl󰠏Ernst Jeismann's theory, which first combined historical consciousness with History Education. Unlike Jeismann, Rüsen's arguments theoriz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e framework of Narrative theory, influenced by the cultural history. Due to the constructive and productive nature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narrative act of the experience of time, Rüsen focuses on the subjectivity of learners and the effect of their interest on the form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Rüsen understands History Education as Historical Learning. For him, Historical Learning is the process of learning and developing historical consciousness. It is abou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activity of interpreting past experiences and directing in the world of living. His Historical Learning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experience, interpretation, and direction, where the key is to balance these three dimensions. And his Historical Learning aims at the “Narrative Kompetenz” that enables learners to interpret and reorient past experiences and make meaningful lives possible. His Historical Learning reveals its unique histor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theory of historical consciousness. However, the limitations are also clear. There is no discussion on social integration in his theory of Historical Learning, which emphasizes the individuality and diverse identities of learners.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in History Education that achieves social integration while acknowledging individuality and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