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 12종 및 문학 교과서 10종을 살펴 교과서 내 고전문학 제재 활용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 시가 제재는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 가장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많이 활용된 제재는 <제망매가>, <가시리>, <용비어천가>, <동짓달 기나긴 밤>, <개를 여나믄이나 기르되>이다. 국어 교과서 안에서 고전 산문 제재는 여러 성취 기준과의 결합을 보였으나, 무엇보다 문학사 관련 성취 기준과의 결합이 가장 많았다. <춘향전>이 고전 산문 제재 전체 가운데 가장 많은 활용을 보였고, <세종어제훈민정음 서문>은 국어 표기의 변화 관련 성취 기준과 관련하여 빈번하게 활용되었다. 문학 교과서 안에서 고전 시가는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어 제시되었고, <제망매가>, <만흥>, <속미인곡>이 교과서 수록에 선호되는 제재인 것으로 드러났다. 고전 산문 역시 마찬가지로 문학사나 사회⋅역사 반영 관계의 탐구 관련 성취 기준과 빈번한 결합을 이루었으며, 수록 선호 제재로는 <단군 신화>, <주몽 신화>, <봉산탈춤>, <흥부가>를 들어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의 배치 및 수록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교육의 실제를 밝히고, 내용 연구의 방향을 마련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12 kinds of Korean textbooks and 10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were reviewed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Korean textbooks, classical poem material was most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literary history. The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are <je-mang-mae-ga>, <gasili>, <yongbi-eocheon-ga>, <dong-jis-dal ginagin bam>, <gae-leul yeo-nameun-ina gi-leu-doe>. In Korean textbooks, classical prose material showed the combination with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but above all, the combination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chun-hyan-gjeon> showed the most use among all the materials of classical prose. <sejong-eo-jehunminjeong-eum seo-mun> was frequently used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criteria related to the change of Korean notation. In literary textbooks, classical poetry was presented in frequent combination with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and historical reflections. <je-mang-mae-ga>, <man-heung>, <sog-mi-in-gog> were found to be the preferred material for textbooks. Classical prose, likewise, is frequently combined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relations between society and history. The preferred materials included are <dan-gun myth>, <ju-mong myth>, <bong-san-mask dance>, <heung-bu-g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and prepares the direction of content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