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문학교육의 주요 이론인 독자 반응 이론이 국내 연구에서 활용되어 온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해당 이론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1985년 이후 국내 연구 검토 결과, 독자 반응 이론은 교수⋅학습 방법 설계 및 실제 독자 반응 분석의 토대로 활용되는 한편 문학 수용 현상을 설명하는 수단으로도 널리 이용되어 왔으나 그 영향력은 정체되어 있었다. 이는 이론에 내재한 한계라기보다는 로젠블랫 중심의 이론적 편중과 이론 수용의 피상성으로부터 비롯한 문제로 판단되었다. 이에 독자 반응 이론 내 다양한 쟁점들을 재조명하여 문학교육적 함의를 발견하고 그 교육적 변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 독서 경험에 대한 설명을 정교화하는 데 독자 반응 이론이 여전히 유효하며, 통념과 달리 이 이론이 집단으로서의 독자에 관한 교육적 구상을 마련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밝혔다.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s that the reader-response theory, which is the main theory of literature education, has been used in domestic studies,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theory in the future. As a result of domestic research review since 1985, We proved that reader-response theory has been widely used as a basis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design and actual reader response analysis, and as a means of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literary acceptance, but its influence was stagnant. This was judged not as a limitation inherent in theory, but rather as a problem originating from bias to Rosenblatt and the superficiality in accepting of the theory. This study reexamined the various issues in the reader-response theory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proposed the educational transformation method. In this process, We proved that the reader-response theory is still valid for elaborating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reading experience, and it is useful for developing educational ideas about readers as a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