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신빙성 없는 서술자에 대한 인지적 논의의 흐름을 일별하고 <치숙>의 수용사를 분석함으로써, 서술의 신빙성을 판단하고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독자가 인지적 틀을 능동적으로 투사하거나 문화적으로 제약을 받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폈다.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논의는 최근 수사적 접근이 직면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인지서사학에 기반을 둔 독자 중심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인지적 관점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는 텍스트의 의미론적 모호함, 충돌하는 목소리, 스토리와 서술의 모순 등을 자연화하려는 독자 해석의 산물이다. 서술자의 신빙성에 대한 독자의 판단은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이기 때문에 문화적으로 다양하고 역사적으로 가변적이다. 이런 점에서 <치숙>의 수용사는 신빙성 판단의 다양성과 가변성을 예시하는 흥미로운 사례로, 이 연구에서는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풍자라는 문학적 틀과 ‘추악’의 신빙성 없음’, ‘레드 콤플렉스의 제약과 친일적 개인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문학적 틀의 수사적 전회와 무지한 반사회주의자의 신빙성 없음’, ‘성차별의 문제의식과 서술자의 중층적 신빙성’으로 살폈다. 이러한 분석은 인지적 접근의 통찰을 독자 개인의 주관성과 다양성에서 공동체의 문화적 제약과 역사성으로서 심화한 시도로, 수용사에 나타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변천을 맥락적으로 추적한 문화사적 연구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또한 독자 개인과 해석 공동체의 관습적 수용을 반성하고 수정하면서 신빙성 판단에 매개된 자기를 성찰적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작업으로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examines the flow of discussion of unreliable narrators and analyzes the reader’s appropriation of “Chi-suk” to understand aspects readers project the frame or are restricted by culture. The discussion of the unreliable narrator, which started at Wayne Booth,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e rhetorical approach, and is recently undergoing a cognitive exhibition based on cognitive narrative. An unreliable narrator from a cognitive point of view is the product of an interpretation strategy created by the reader’s efforts to naturalize the ambiguity and contradictions of the narrator found in the text. the reception history of Chi-Suk is an interesting example that illustrates the diversity and variability of judgments about unreliable narrators. In this study, I examined four changes of unreliable narrator in reception history, ‘the literary framework of satire and unreliability of ugly’, ‘constraints by red complex and unreliability of pro-japanese individualists’, ‘rhetorical return of the literary framework and unreliability of ignorant anti-socialist’, ‘problem consciousness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e layered unreliability of narrator’. This analysis reconstructs the reception history of unreliable narrator and ha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istory study. It is also a process of reflectively understanding one’s self-mediated unreliability, reflecting on and modifying the customary acceptance of readers and interpretive commun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