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여수 방문객을 대상으로 체험경제이론을 적용하여 지각된 가치(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 장소애착,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여수를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여수엑스포 부근(입구, 빅오쇼)과 여수엑스포 KTX역에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정적 가치가 오락적, 일탈적, 미적 체험요인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능적 가치는 오락적, 교육적 체험요인에 의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정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는 장소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소애착은 여수 방문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오락적, 미적, 일탈적 체험요인을 강조하여 감정적 가치를 높여야 하는 반면, 교육적, 오락적 체험요인은 기능적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한 여수 방문객의 만족을 극대화하는 장소애착을 증가시키기 위해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를 강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학술적으로는 2012 여수엑스포 이후의 후속연구로서 기여하고, 실무적으로는 관광목적지로서 여수 방문의 가치를 차별화하기 위한 마케팅전략을 세우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s of visitors’ experience on perceived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place-attachment, and satisfaction by applying the theory of experience economy in the area of Yeosu.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tourists who had visited the Yeosu area and distribu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respondents at the Yeosu Expo (entrance, Big O Show) and Yeosu Expo KTX st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emotional value was influenced by entertainment, escapist, and esthetic experience factors. In addition, functional value was affected by entertainment and educational experience factors.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Final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place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visitors’ satisfaction of the Yeosu destin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tertainment, esthetic, and escapist experience factors should be emphasized to increase emotional value, whereas educational and entertainment experience factors should be emphasized to increase functional value.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should be emphasized to increase palace attachment, which in turn maximized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to Yeosu. This study provides specific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e conclusion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