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麗末鮮初에 漢詩 창작의 본보기가 되었던 黃庭堅의 詩論이 언제부터 어떤 경로로 조선 문단에 유행하게 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황정견의 시론은 李仁老의 『破閑集』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인로가 소개했던 황정견의 換骨奪胎 이론은 『山谷集』에는 없고, 송대 시화집인 惠洪의 『冷齋夜話』에 나온다. 이인로는 『산곡집』 외에 『냉재야화』를 통해서도 황정견의 시론을 배운 것이다. 하지만 당시에는 蘇軾을 추종하는 풍조가 만연하여 황정견의 시론에 대한 영향력은 미미했다. 이후에 崔滋의 『補閑集』과 李齊賢의 『櫟翁稗說』 등 고려 말 詩話集에서 황정견의 시론이 서서히 소개되면서, 그의 이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채용하려는 노력이 보이기 시작한다. 최자가 『보한집』에서 ‘換骨’이라는 용어를 곧바로 사용하기도 하고, 이제현의 『역옹패설』에는 황정견의 시론을 적극적으로 배운 인물에 대한 소개가 나오기도 했다. 이후 徐居正의 『東人詩話』에 이르면, 황정견의 시론을 바탕으로 한 용어와 비평들이 곳곳에 등장한다.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點化와 蹈襲에 관한 비평들이다. 이러한 배경에는 「東人詩話序ㆍ後」에서 언급된 『詩話總龜』ㆍ『漁隱叢話』ㆍ『詩人玉屑』ㆍ詩林廣記』 등을 비롯한 宋代의 각종 시화집들이 황정견의 시론뿐만 아니라 한시 창작의 전반적인 방법과 비평적 안목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During Yeomal-Suncho(麗末鮮初), we looked at how 黃庭堅' poems became popular in Joseon literary circles. 黃庭堅's theory of poetry first appears in 補閑集. The theory of 黃庭堅(換骨奪胎), introduced by 李仁老, is not found in 山谷集(by.黃庭堅), but 冷齋夜話(by.惠洪) in the collection of poems by Song Dynasty. 李仁老 have learned his theories not only from his collection but also from the collection of poems by Song Dynasty. However, there was a widespread tendency to follow 蘇軾, with little influence on Huang's poetic theory. Later, with the introduction of Huang's poetic theory in the late Goryeo Dynasty's poetry collection, such as 補閑集(by.崔滋) and 櫟翁稗說(by.李齊賢), people began to understand his theory deeply and make active use of it. 崔滋 used the term ‘換骨 immediately in 補閑集. In 櫟翁稗說, there was an introduction to the person who actively learned Huang's theory. By the 東人詩話(by.徐居正), terms and criticisms based on Huang's theory appear everywhere. The most notable parts are criticism of 點化 and 蹈襲. The change appear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the acceptance of the Song Dynasty's poetry collection. For example, at the preface of 東人詩話 mentioned three poems of the Song Dynasty, 詩話總龜 and 漁隱叢話 and 詩人玉屑, as important books. The books are believed to have helped foster a critical eye and the overall way of creating chinese po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