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학생데이터가 본질적으로 학교에 내포되어 있는 자료의 구조를 고려한 다층모형을 활용하여 중학교 2학년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수준의 요인과 학교수준의 요인을 전년도(중1)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통제한 후 검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학교수준 요인으로 학생, 교사, 학부모 각각을 대상으로 한 예방교육, 학생․학부모 상담실적, 다양한 학교폭력예방활동, Wee클래스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학교장의 관심과 중요성 정도, 학교 내․외 구성원과의 관계 등을 포함함으로써 학교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개입이 실질적으로 그다음 학년도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패널 중에 초4패널의 4차(중1)와 5차(중2) 데이터 중에 학생, 학부모, 학교, 학교장 응답데이터를 모두 결합하여 분석에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의 최종 분석대상자는 총 297개 중학교의 3,722명이다. 분석결과, 개인수준에서는 남학생이고, 교우관계를 긍정적으로 응답한 학생이 그다음 학년도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더 많이 하였으며, 반면 긍정적 교사관계와 자기통제력이 높은 경우는 학교폭력 가해행동을 덜 할 가능성이 높았다. 학교수준에서는 교직원대상 학교폭력예방교육 횟수와 학교폭력예방활동이 많을수록 그다음 학년도 학교폭력 가해행동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예방에 관한 현시점에서의 개입을 점검하고 향후 실질적으로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individual and school effects that affect the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after controlling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in the previous year using a multilevel model which considers student data embedded in the school.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school-level interventions such as prevention education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student/parent counseling, various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Wee class programs, and principal’s interests and relationships with internal and external members are effective in reducing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using the 4th and 5th wave of the 4th grade panel. Student, parent, school, and principal data were combined, with a final analysis of 3,722 students in 297 middle schools. As a result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more male students and the higher self-reporting of better friendships, the more likely they were involved i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high self-control were less likely to be involved in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At the school level, the mor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 mor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the more significant effects there were on the reduction of school violence perpetration for the next school yea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intervention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suggested useful preventive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