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각 교과에서 디지털 매체를 기반으로 한 학습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국어과의 도구적 역할도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상황으로까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의 토대로서 디지털 교과 리터러시라는 개념을 제안하고 관련 연구를 촉구하는 목적에서 초등 제 교과의 교과서에 나타난 디지털 매체 기반의 학습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2학년 단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5-6학년군에 와서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수학을 제외한 대부분의 교과에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이 비교적 고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들은 전반적으로 학습자의 실제 디지털 리터러시 발달 수준보다 높은 수준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과서에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돕는 비계가 제시되기도 하였으나 교과마다 그 편차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은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을 지원하기에 양적으로도 많이 부족할뿐만 아니라 학습 과정에 대한 안내도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타 교과의 디지털 기반 학습 활동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는 점, 교과 리터러시에 대한 재개념화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 교실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As digitally-mediated learning increases in each subject, there is a growing need to extend the role of the Korean Language Arts to the digital media-based learning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of digital content literacy and aimed to analyze the aspect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in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ubject to promote related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began to appear from the 2nd grade level and showed a sharp increase in the 5-6th grade level. It also showed that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appeared relatively evenly in most subjects except math. The activiti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generally showed a higher level than the actual level of digital literacy development of learners. To solve this, scaffolding to help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in the textbooks, but the variation was large for each subject. The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were not quantitatively insufficient to support activities in other subjects, and the guidance on the learning process was not specific. Based on the results, the last part emphasized that additional analysis of digitally-mediated learning activities of other subjects, discussion of reconceptualization of subject literacy, and ways to bridge the various types of digital gaps that may appear in the classroom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