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ddresseswhat kinds of insights the cross-population (child L1-adult L2) and within-population (two adultL2 groups) comparison can bring to us.The language property that it focuses on is the Incompleteness Effect, which refers to the compatibility of partial completion interpretations of accomplishmentswhich typically entail full event completion. This phenomenon is attested inKorean but not inEnglish.Given such a divergence between the two, realizing the compatibility of partial completion interpretations of accomplishments in Korean can be a challenging task to both Korean children and adult English-speaking learners of Korean and realizing the incompatibility of partial completion interpretations of accomplishments in English to adult Korean-speaking learners of English. This paper examined how adult L2 and child L1 acquirers would face this task. This study found that both child L1 and adult L2 acquirers (adult native English speakers) exhibited the same patterns, which seems to suggest that both are guided by the same learning principles, the Subset Principle. However, the within-population comparison data (adult Korean and English speakers), coupled with the aforementioned cross-population comparison data, revealed that all in all, the adult L2 datawere uniformly accounted for by the L1 transfer.


최근의 제2언어습득연구는 모어와 제2언어 습득을 비교하는 집단교차 혹은 동일 현상에 대해 역의 상황에 놓인 두 성인집단의 제2언어 습득을 비교하는 집단내 습득연구를 통해 제2언어습득원리에 관한 통찰력을 높이고 있다. 본고는 “불완전성 효과”를 배경으로 집단교차/집단내 습득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러한 연구방법의 수월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영어와 달리 국어 완성동사는 결과 함축이 낮아 결과 취소가 가능한데 이를 불완전성 효과라 일컫는다. 즉 국어 완성동사만이 미종결사건을 나타낼 수 있다. 두 언어 간 이러한 차이는 (1)국어를 모어로 습득하는 한국인 아동, (2)한국어를 학습하는 영어권 화자, (3)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성인에게 어려움을 제시하리라 예상된다. 본고는 (1)과 (2)간 집단교차 비교연구를 통해 국어 불완전성 효과에 대한 한국인 아동과 영어권 성인 화자 간의 인지차이를 조사하고, (2)와 (3)간 집단내 비교연구를 통해 모국어 전이현상을 고찰하였다. 불완전성 효과 인지여부를 살피고자 동영상을 활용한 진리치 판단과제를 수행하였는데 본 효과를 인지한 피험자는 사건 미종결 동영상을 보고 완성동사가 부합하나 범언어적으로 결과 취소가 불가능한 달성동사는 수용불가로 판단할 것이다. 집단교차 비교 결과, 중급 한국어 학습자와 5-6세 한국인 아동은 미종결조건에서 완성동사와 달성동사를 구분하지 못하였으나 고급 한국어 학습자와 7세 한국인 아동은 완성동사만이 미종결조건에 부합하다 답하였다. 유사한 결과에 모어와 제2언어습득에 동일한 습득원리가 관여한다는 성급한 결론을 내릴 수 있으나, 집단내 비교결과를 포함하여 양상을 다각적으로 고찰한 후, (1)의 모어습득은 부분집합 원리 (2)와 (3)의 제2언어습득은 모국어 전이가 관여한다는 완결성 높은 설명을 제공할 수 있었다. 집단교차/집단내 비교라는 다층적 방법론이 제2언어습득연구에 객관성과 수월성을 확보해 줌을 실증적으로 고찰했다는 점에 본고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