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담헌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국문 연행록 『을병연행록』에 대해 살펴보고 이 텍스트의 특징과 의의를 밝혀보고자 한다. 방법:그의 연행기록은 한문으로 된 『연기』와 『건정동필담』 두 편과 국문으로 된 『을병연행록』 3부작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한문본 연행록과 비교해본 결과 상세한 일정과 풍부하고 방대한 내용들로 구성된 『을병연행록』은 기사체로 된 한문본 연행록 『연기』에 비해 결코 손색이 없으며 연행록으로서의 보편적 의미와 함께 국문본이라는 독특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결과:일기체로 된 『을병연행록』을 통해 담헌의 화이관의 변화와 북학 사상의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 한글본 책들이 주로 여성들에게 읽혀졌다는 통념아래 『을병연행록』도 여성들의 관심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는 견해는 재고되어야 한다. 또한 한글독자들이 이 한글기행문을 통해 해외견문의 확대와 지적수준의 향상이라는 교양의 효과를 이루게 된 것도 사실이다. 결론:그런 측면에서 『을병연행록』은 연행록 연구 영역뿐만 아니라 국어교육 영역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Purpose:This thesis aims at studying on Hongdaeyong(1731~1783)’s Yeonhaengrok, Eulbyeongyeonhaengrok. Method:Hongdaeyong’s Yeonhaengrok consists of three parts. Yeongi, Ganjeongdongpildam and Eulbyeongyeonhaengrok were called Hongdaeyong’s “Three Yeonhaengrok”. Yeongi and Ganjeongdongpildam were written in Chinese ‘and Eulbyeongyeonhaengrok was written in Korean. Previous studies on Hongdaeyong’s Yeonhaengrok mainly focused on Yeongi and Ganjeongdongpildam, but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Eulbyeongyeonhaengrok. However, Eulbyeongyeonhaengrok was the only text written in Korean among Yeonhaengroks of Bukhak School and consists of specific schedules and rich and wide contents. Compared with Chinese texts, it not only has universal significance but also has important research value. As most of Korean writings mainly had been read by women, most of previous research on Eulbyeongyeonhaengrok focused much on women readers and considered that the content of the book was mainly about women, so there is still much room for improvement in research of Eulbyeongyeonhaengrok. Result:As a result, women readers had enlarged their visions and knowledge by reading Korean Yeonhaengrok. That was the real effect on women’s education. Conclusion:From this point of view, Eulbyeongyeonhaengrok has important meanings not only in research of Yeonhaengrok but also in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