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회 인지 진로 이론의 진로 만족 모형을 바탕으로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지각하는 외적 자원인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와 그 관계에서 내적 자원인 자기 효능감, 그릿, 내적 직업 가치의 매개 역할을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첫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성인 진입기 여성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고, 총 281명의 자료를 활용해 PROCESS macro v3.4로 연구 가설을 검정했다. 그 결과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 그릿, 내적 직업 가치 각각을 매개로 하는 단순 매개 효과가 유의했다. 이에 더하여 사회적 지지와 정신적 웰빙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과 그릿 그리고 자기 효능감과 내적 직업 가치의 순차적 이중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이 외부로부터 지각한 지지 체계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 체계를 발달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통해 향상된 자기 효능감은 장기적인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힘인 그릿과 개인적 성장이나 사회적 공헌을 지향하는 내적 직업 가치를 함양할 수 있게 하여 정신적 웰빙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첫 취업을 준비하는 성인 진입기 여성의 건강한 진로 발달은 개인 내외 자원이 아우러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자 한다.


Based on the model of work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mental well-being of female emerging adults preparing for their first employment. Moreover,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grit, and the intrinsic work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mental well-be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a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oline survey data from 281 participants,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major variables were observed with PROCESS macro v3.4.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s of each of the three parameters were significant. Furthermor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grit and of self-efficacy and intrinsic work value were significant. This mechanism can predict mental well-being, as it allows female emerging adults to not only demonstrate grit, which helps them to make steady progress towards their long-term goals, but also to gain intrinsic work value, aiming at individual development and social contributions. The results here support the perspective of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nd reveal that female emerging adults can more actively develop their career paths when they have both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