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교에서 근무하는 전문상담사들의 직무와 소진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전문상담사들이 학교 비정규직으로서 경험하는 직무갈등과 소진, 이에 대한 예방과 대처 방안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에서 5년 이상 근무하고 있고, 무기 계약직으로 전환된 전문상담사 중 소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보고한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 참여자들을 초⦁중⦁고 학교 급별로 나눈 후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 주제, 59개의 의미 있는 개념이 도출되었다. 5개의 주제는 ‘청소년 내담자와의 동반성장을 통해 자긍심을 경험’, ‘상대적 박탈감과 자괴감, 정체감 혼란을 감내’, ‘소진이라는 절벽위에 선 전문상담자의 처지’, ‘소진으로 인해 병들어 가는 전문상담사의 삶’, ‘소진으로부터 벗어나 성장으로 가기 위한 길’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전문상담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하여 적정한 직무와 처우개선이 필요하며, 상담법 제정 등을 통해 학교 전문상담사들에 대한 정체성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 job conflicts and burnout, which 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 experienced as non-regular workers, and propose prevention methods against them. For this purpose, nine professional counselor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y were chosen among the counselors whose working contracts were switched from temporary to indefinite positions after having worked with school for more than five years, while they experienced burn-out. They are classified by school level(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As a result, five topics, 14 sub-topics and 59 meaningful concepts were identified. The five topics consist of "experiencing self-respect through shared growth with adolescent clients”, "enduring relative deprivation, self-destruction and identity confusion”, "the situation of professional counselors standing on the cliff of burnout”, "the life of professional counselors getting diseased”, and "the way to go to the growth away from burnou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per work and treatment improvement were needed to prevent and cope with burnout of school professional counselors, and the need to establish a base for school counselors' identity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ounseling 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