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간 적합성이 대학생의 학교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평상시 시간사용 정도(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 활동)를 통해 확인하고, 이때학자금 대출 상환 경험에 따른 차이를 보았다. 연구를 위해 한국장학패널조사(KOSAPS) 2차, 3차 데이터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다항회귀와 반응표면방법론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출금 상환 경험에 따라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적합성이 시간사용(그룹스터디, 자기계발, 소셜네트워크, 중독적 취미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룹스터디 시간사용의 경우 상환을 경험한 그룹은 자존감과 스트레스와의 영향 관계보다 상환 경험의 유무가 더 크게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자기계발의 경우 상환 경험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낮은시간사용 양상을 보임을 나타냈다. 소셜네트워크의 경우에는 두 그룹 모두 자존감과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적합성 효과가 나타났으며 소셜네트워크와 중독적 취미활동의 상환을 경험한 그룹에서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극단적으로 적합하는 상황, 즉, 스트레스와 자존감이 동시에 모두 낮거나 모두 높은 상황에서 과도한 시간사용 경향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자금 상환 경험에 따른 대학 생활 양상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대출 이전의 교육과 더불어 학자금 대출 상환에 대한 교육, 학생들의 인식 및 심리, 정서적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기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ngruence of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on time use (group study, self-development, social networks, addictive hobby) in university student's life and the difference in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For this study, we studied university students in KOSAPS 2nd and 3rd-year data. In this stud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life stress and self-esteem, the moderator is the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university student's time use. The polynomial regression an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ere mainly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stress, self-esteem, and effect of student loan repayment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