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정전(正典)으로서의 서정주 시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한다. 기본적으로 작품 내재적인 분석 방법을 취하면서 궁극적으로 서정주 시가 지닌 정전으로서의 위치와 아울러 정전으로서의 서정주 시가 한국문학사에 끼친 영향관계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가 착안한 지점은 서정주 시에 나타난 ‘영원성’과 ‘여성성’의 세계이다. 서정주 시가 주요한 주제로 삼는 ‘영원성’과 ‘여성성’은 그의 시가 시적 본질에 대단히 충실하다는 증거가 된다. 이 논문에서는, 서정주 시가 보여주는 ‘시적인 것’에 대한 탐구가 그의 문학을 정전의 자리에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요인이면서, 한편으로 다른 어떤 것도 아닌 ‘시적인 것’의 본질에 충실하다는 사실이 정전으로서의 그의 시가 한국문학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관심에서 본 연구는 서정주 시에서 ‘영원성’에 대한 탐구가 ‘여성성’의 표상과 결합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서정주 시에서 ‘여성성’이 ‘영원성’의 세계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세계에 초월적이고 주술적인 측면을 강화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 파악하는 정전으로서의 서정주 시의 의미지점은 그가 추구한 ‘시적인 것’에서 기인한다. 서정주는 ‘시적인 것’의 본질과 순수를 일관되게 추구함으로써 한국 서정시의 정통적인 전범을 제시한 시인이다. 그러나 그가 제시한 정통 서정시의 모델은 동일화 원리에 기초한 합일과 초월의 공간으로써 전통과 토속의 세계를 끊임없이 불러들이며 한국 시의 주류를 협소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poems of Seo Jeong-Ju as a canon. While I basically took the method of the intrinsic analysis, I ultimately paid attention to not only the place that his poems have as a canon but also the relation of influence that his poems have had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point aimed at in this paper are the world of 'eternity' and 'femininity' that are shown in his poems. The 'eternity' and 'femininity' are the evidence that his poems are very faithful to the poetic nature. To study 'the poeticity' that his poems have shown is an important factor that locate his literature at the place of a canon.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y are faithful to the poeticity other than anything else plays the factor that his poems have tremendous influence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Due to this interest, in this paper, I studied the combining process of the study on the eternity found in his poem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feminity'. I confirmed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femininity' in his poems plays the role of not only as the important occasion in embodying the world of 'eternity' but also strengthening the transcendental and shamanistic aspects of his poetic world. In conclusion, the point of meaning of his poems as a canon stems from the 'poeticity' he had pursued. Seo Jeong-Ju is a poet who suggested the orthodox paradigm of Korean lyric poetry by consistently pursuing the nature and pureness of the 'poeticity'. However, the model of the orthodox lyric poetry he suggested has produced the result of narrowing down the mainstream of Korean poetry by constantly eliciting the world of tradition and folklore as the space of union and transcendence based on the principle of 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