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무 재창조 이론에 기반을 두고 영업 관리자의 직무 재창조가 객관적⋅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보험사의 영업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198명(밀레니얼 세대 관리자 121명, 기성세대 관리자 77명)의 응답을 수집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영업 관리자의 객관적 직무 성과는 지점 목표비 달성률을 활용하였고, 구조 방정식 모형과 다집단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과업 재창조와 인지 재창조는 주관적 직무 성과와 정(+)적인 관련이 있었다. 다집단 분석 결과, 관계 재창조가 주관적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 재창조와 직무 성과 간의 관계,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의 차이에 대해 HRD 관점에서 이론적⋅실천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objective and subjective job performance of sales managers based on the job crafting theory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This study surveyed sales managers of A insurance company and collected 198 responses (121 millennial managers and 77 old generation managers). As the objective job performance of the sales managers, the sales target achievement rate of the branch was utili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howed that task and cognitive craft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subjective job performance. The result of the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in the effect of relational crafting on subjective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rom the HRD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