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전라도 굿은 음악적 예술성을 갖춘 의식이다. 무당인 당골은 무가(巫歌)를 부르고, 악사인 고인은 무당의 소리를 반주한다. 악사의 반주는 무당의 무가를 함께 부르는 바라지, 무가를 반주 하는 악기 연주를 겸한다. 일반적으로 굿음악의 반주 악기 중 가장 중심적인 악기는 주선율을 연주하는 피리이다. 현재 전라도에 거주하는 악사 중 피리를 연주하는 악사는 한씨 고인이 독보적이다. 그는 세습무 집안 출신이지만, 부모에게 음악을 학습하지 않았으며, 더하여 부인과 함께 굿을 하지 않는다. 1988년 보고된 악사 중 현존하는 악사는 박영태와 한씨 고인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씨 고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전라도 굿음악을 이해하기 위한 부분적인 작업으로 한씨 고인의 음악을 중점적으로 논하고자 한다. 한씨 고인의 피리 반주 선율은 장단에 따라 헤테로포니 또는 폴리포니로 연주한다. 헤테로포니는 진양과 중모리에서, 폴리포니는 빠른 장단인 안당살풀이, 덩덕궁이, 대왕놀이에서 연주한다. 헤테로포니 중 진양의 피리 선율은 2가지 형태의 반복 선율 사이에 다른 가락을 넣어 연주하며, 중모리는 일정한 반복 선율이 장단의 앞과 뒷부분에서 연주한다. 폴리포니 중 안당살풀이의 선율은 무가 반주 선율 외에도 2소박 자유박으로 연주하는 안당이나, 무무(巫舞)에서도 연주한다. 각 장단의 첫 1-2장단에서는 피리 선율은 연주하지 않는다. 이것은 무가의 청을 듣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피리 선율을 연주하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염불과 같이 악곡이 ‘긴염불-중염불-자진염불’로 이어지면, 이어지는 악곡에서는 청을 맞추기 위하여 피리 선율은 휴지하지 않는다. 한씨 고인의 피리 선율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음악적으로 유형화 하였다. 비록 한씨 고인은 집안의 음악을 잇거나 신청에서 굿음악을 학습하지 않았지만, 현재 전라도에 거주하는 마지막 세대의 피리 연주자이다. 그의 음악은 장단에 따라 특정하게 연주된다. 이를 통해 전라도 굿의 피리 선율도 수성가락으로만 연주하는 것이 아닌 일정하게 유형화된 선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ritual in Jeolla-province is a composite art of song music and dance. Danggol, a shaman, sings the song “Muga(巫歌)” while the musician accompanies the sound of the shaman. The accompaniment of musicians combines the singing of refrain part and instrumental music. The most central instrument of the accompaniment is the Piri (觱篥, cylindrical double-reed bamboo oboe) that plays the main melody. Currently there is only one Mr. Han of Jeolla. He is from a hereditary family, but he did not learn music from his parents, and he does not perform with his wife. Among the musicians In the 1980’s report, there are Mr. Park and Mr. Hana are still alive today.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Mr. Han’s music as a parti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music of Jeolla-province ritual. Han’s Piri accompaniment melody is played with heterophony or polyphony according to the rhythm. Heterophony is played in Jinyang (6 beats of triple rhythm) and Jungmori (12 beats of duple rhythm), and polyphony is performed in the while fast rhythm Andangsalpuri (4 beats of duple rhythm), Dengdeokgungi (4 beats of duple rhythm) and Daewangnori(mixed four beats of duful and triple rhythm) music. In Heterophony, Jinyang’s Piri melody plays different patterns between two types of repeat melodies, in Jungmori certain melodic pattern is played at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a rhythmic cycle. plays melodies in the front and back of the rhythm. In addition, polyphonic melodies are played in Andang (free beats of duple) or dance of music. Through Han’s Piri melody, the accompaniment music of Jeolla-province was analyzed. Although Han did not play his family music or learn music at a Shincheong (local center of ritual). he is now the last generation of Piri players living in Jeolla-province. His music is not an authentic SamhyeonYukgak of Jeolla-province, but I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are formalized melodies in accordance with the rhythm of the song in Jeolla-provi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