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일반 초․중․고에 완전 통합된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를 알아보고 그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원의 실태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통합교육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93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들의 상당수는 초·중·고 전 과정에서 비장애 또래들과 동일한 평가유형에 참여하고 평가의 내용과 기준도 동일하게 적용을 받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행평가의 방법은 초등과정에서는 관찰에 의거한 평가가, 중등과정에서는 교사제작 평가지를 활용한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교육평가의 결과 처리 역시 비장애 또래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이들의 평가 참여 자체를 인정하지 않거나 인정점 처리 등의 방식도 활용되고 있었다. 특수교사는 이 학생들에게 거의 직접 교수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조정 등의 지원 제공 역시도 이 학생들에게 해당사항 없다고 답한 경우가 과반을 넘었다. 이 학생들을 위한 교육평가 지원 사항을 결정할 때 장애 유형이나 정도, 보호자의 의견 순으로 반영하고 있었고, 과정에 따라 중시하는 요소에 대한 응답 순위에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응답자들은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평가 방안으로 일반학교의 평가 체제를 유지하면서 평가조정을 제공하는 형태가 적절하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일반 초․중․고 통합학급 배치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평가 실태의 의미와 유의점,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urvey study was to examine how educational evaluation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executed by school levels. Nine hundreds and thirty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were answered this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fully inclusive classe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s as the same as those of their nondisabled peers and were applied by the same evaluation criteria and scoring system.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many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the full inclusion placement rarely provided evaluation-related supports including test accommodations. Lastly, the IEP teams made evaluation decisions mainly considering a student’s disability types and degrees, his/her parental opinions and/or present performance level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educational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u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