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조선시대 소수자인 여성들이 그들의 공간이 내방 혹은 규방에서 부른 가사를 지역의 전통으로 창출하는 과정과 배경을 기술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더불어 가사보존회 일반 회원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내방가사의 의미와 기능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안동의 민속이 새롭게 인식되고 활용되는 역사 그리고 가사보존회의 역사와 활동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가사보존회 회원들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조사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무대화된 민속, 정체성, 사교와 같은 개념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내방가사를 문학적 텍스트로 연구하는 기존 연구와 달리 텍스트를 구연하는 개인과 집단의 생활과 연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전통에 대한 인식 특히 유교적 생활이 전통으로 인식되고 있는 안동지역에 여성 중심의 전통을 형성되는 배경과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가 가사 중심의 기존 국문학자의 내방가사 연구 그리고 유교적 전통문화에 대한 기존 연구와의 차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가사보조회 회원들의 참여 배경과 목적을 조사하여 가사보조회의 기능을 분석하고 나아가 안동의 도시 문화 특히 토박이여성들의 도시문화를 분석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으나,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기에는 조사대상자가 상대적 적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naebang-gasa, literature written by females in their unique space naebang or gyubang, as a minority group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process of the naebang-gasa establishing itself as regional tradition. Furthermor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naebang-gasa in the daily life of ordinary members of the Gasa Preservation Society were studied. For this, materials on the history and activities of the Gasa Preservation Society as well as the newly recognized folk history of Andong were researched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asa Preservation Society members were described. Concepts such as staged folklore, identity, and sociality were applied to analyze the research material. Unlike preceding studies that studied the naebang-gasa as literary texts, this study analyzed the naebang-gasa as a narration of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lifestyle. Through this, perceptions of new tradition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female-focused traditions being established in the region of Andong where Confucianism was considered as tradition previously, were studied in particular. Such points are the major differentiation between this study and existing studies on the naebang-gasa conducted by Korean literature scholars and studies on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The initial goal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member participation and analyze the function of the Gasa Preservation Society, as well as analyze the urban culture of the city of Andong and native females in particular.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was relatively insufficient to achieve such goals in much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