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각·언어장애를 가지고 있는 농인이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지게 되는 과정에 대한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농인이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지게 된 농기반농맹인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조건은 수어를 모어로 사용하며 농인으로서 후천적으로 시각장애를 가지게 된 전농전맹인이다. 그 결과 총 128개의 의미단위를 구성하였고, 이를 요약하여 61개의 중심의미를 구성하고 연구자의 언어로 전환하였으며, 총 17개의 드러난 주제를 추출하였다. 연구자는 중심 의미와 드러난 주제를 바탕으로 ʻ상상도 못했던 또 다른 장애ʼ, ʻ소통의 벽, 마음의 거리ʼ, ʻ의지해야하는 삶ʼ, ʻ도전과 좌절, 살기위한 몸부림ʼ, ʻ정보의 사막에서 발견한 오아시스ʼ, ʻ조심스레 가져보는 희망ʼ의 6개의 명확한 주제를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히 시각·청각장애 각각을 위한 사회 지원만으로는 충족될 수 없는 농인의 맹 과정 경험의 현실을 심도 있게 살펴보고자 하였으므로 농기반농맹인에게 필요한 제도나 사회적 지원체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what people with auditory disorder experience if they develop visionary disorder. To achieve the goal, the study took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he research interviewed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acquired visionary impairment. The research found that the people formed 128 semantic units. The researcher compressed them into 61 main meaning units and selected them as researcher's language. Also 17 main topics were deduced and the researcher categorized them into 6 main themes; ʻA Disability which was not Expectedʼ, ʻCommunication Barrierʼ, ʻA Life in need of Helpʼ, ʻChallenge and Failureʼ, ʻAn Oasis Found in the Sea of Informationʼ, and ʻFinding Hopeʼ. The study focused on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who developed visual disability. Since the population need different needs compared to people with single disorder, the study could be used as baseline data for policy making or social support network establishment for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