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2009년 2019년 7월) 연구된 노인의 근감소증에 대해 운동요법, 영 양요법 및 건강교육 관련 중재요법 효과가 검증된 선행연구 41편을 가지고 노인의 신체활동 능력과 근육량의 변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PubMed, 한국교육학술정보서비스, 국 회도서관을 중심으로 ‘Sarcopenia’, ‘Elderly’, ‘Physical’, ‘Nutrition’, ‘Education’, ‘근감소증’을 키워 드로 검색, 수집된 자료를 코딩한 후 효과크기, 표준 오차, 95% 신뢰 구간, 동질성(Q,  ), 출 판편향, 통계적 이상치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수준(0.493)이었고, 중 재효과의 측면에서는 기능개선에서, 중재특성에서는 운동과 영양을 병행한 요법(연구 단위), 운동과 교육 또는 교육과 영양을 병행한 요법(중재 그룹 단위)에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 다. 단, 연구 대상자 수는 많을수록, 연구 기간은 길수록 효과크기가 크게 산출되었다. 본 연 구는 운동, 영양, 교육 관련 중재요법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적인 분석을 시도했다는 데에 의 의가 있다. 차후 본 연구에서 얻어진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결과들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erform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variation in physical ability and muscle mass based on 41 research papers that have proven effectiveness for sarcopenia in the elderly on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 over the past ten years. Search results using keywords such as ‘sarcopenia’ and ‘elderly’ and ‘physical’ and ‘nutrition’ and ‘education’ from databases including PubMed, RISS, and NAL. This collected data was then coded to compute and analyze effect size. The overall effect size was medium level (0.493) and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an intervention, a large effect size was found in functional improve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vention provided a large effect size in cases within the study unit,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At the intervention group unit, th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education or health education and nutrition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length of the research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interventions all across the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health education-related interventions. We hope the results of the integrated and objective analyses from this study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sarcope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