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기반으로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비판적 수용은 본질적으로 영역 통합적인 활동을 지향함에도 교육적 실천은 주로 읽기나 듣기의 이해 영역에 치우쳐 있다. 이 연구는 여기에 문제의식을 갖고 비판적 수용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영역 통합적인 활동을 구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판적 수용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국어교육의 인접 이론인 ‘비판적 담화분석’에 주목하고, 그 분석 층위를 학습자의 활동으로 전이하여 비판적 수용의 교육 내용을 단계별로 밝혔다. 구체적으로 텍스트의 내용 확인(이상 ‘텍스트 독해’ 단계), 텍스트를 형성하는 언어에 대한 관찰, 언어적 특징에 의해 구성되는 의미의 수행성 탐구, 텍스트의 생산과 해석에 작용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이해(이상 ‘텍스트의 비판적 분석’ 단계), 텍스트의 비판적 수용 정리와 인식 개선을 위한 방안 제안(이상 ‘텍스트 재인’ 단계) 등으로 비판적 담화분석의 국어교육적 적용 틀을 구안하였다. 그런 다음 ‘언어와 매체’ 관련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을 활용하여 각 단계별 내용 요소를 마련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비판적 수용의 통합 활동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이를 비평적으로 환원하였다. 이 연구는 비판적 수용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을 구안하려는 시도로서, 궁극적으로 국어교육의 통합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tegrated activity of critical acceptance based 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Critical acceptance essentially aims for domain integrated activities, but a current practice is weighed in reading or listening as a domain of understanding.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is problem, makes a domain integrated activity recovering the essence of critical acceptance. To do this, we pay attention to CDA as an adjoining theory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critical acceptance, and we investigates educational contents of critical acceptance by steps through being shifted to learners’ activities from CDA’s analysis categories. This is the CDA’s Korean educational applying frame, confirming a text(a “text reading” step), observing language constructing a text, inquiring meaning performances making by linguistic features, acknowledging sociocultural contexts on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a text(a “critical analysis of text” step), and arranging a critical acceptance result of a text and suggesting a way of a recognition improvement(a “text recognition” step). After this, we make detailed contents in each steps of this applying frame by reviewing achievement standards of grammar domain and media related contents in Korean subject curriculum(2015). And then we develop and implement an integrated activity of critical acceptance which could use in an actual class, and it gets feedback through the class criticism. This study has a meaning to gain a foothold for reinforcing the integration of Korean education, by trying to make an authentic method for recovering the essence of critical accep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