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월선헌십육경가(月先軒十六景歌)>와 관련하여 선행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완산(完山) 사건과 작품에 나타난 다섯 개 ‘흥(興)’의 양상 및 의미, 그리고 월선헌(月先軒) 당호의 의미 등을 고찰하였다. 첫째, 기존연구에서 <월선헌십육경가>의 서사부분에 벼슬살이의 변고를 의미하는 ‘환해풍랑(宦海風浪)’ 등 표현을 주목하여 이를 현실 세계에 대한 화자의 부정적인 인식의 근거로 보았다. 그러나 신계영(辛啟榮)의 벼슬살이와 이에 관련 문학작품을 검토한 결과는 ‘환해풍랑’이 파직을 당했던 완산사건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완산사건은 개인적 차원에서만 겪은 큰 불행일 뿐, 신계영이 정치현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해석할 근거가 되기가 어렵다. 둘째, 작품에서 계절별로 나타난 ‘흥’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 ‘시흥(詩興)’은 자연과 인간의 생동으로 촉발된 흥취이고, ‘한흥(閑興)’은 자연의 은혜와 인간의 한가로움으로 즐기는 흥취이고, ‘전가흥미(田家興味)’는 자연의 결실과 인간의 풍요로 누리는 흥취이고, ‘안빈낙도(安貧樂道)’는 ‘세한삼우(歲寒三友)’로 일어나는 도학자의 흥취이다. 이 중에 사계 ‘흥’의 최고조에 이르는 것은 가을의 ‘전가흥미’이다. 이들은 백성의 풍요로운 삶에 기반을 두고, 사계의 순환에 따라 변화된 자연과 인간의 광경에 초점을 맞추는 흥취들이다. 이와 달리 ‘일흥(逸興)’은 화자 자신의 삶에 주안점을 두고, 본성을 따른 자유로움으로 느끼는 흥취로 보았다. 셋째, 작품 후반부에 달을 중심으로 전개한 내용을 주목하여, ‘월영만천(月映萬川)’에서 달이 유가적 ‘리(理)’를 상징하는 의미를 확보하고, 이를 작품에서 나타난 달에 적용하였다. 또한 ‘월선’이라는 당호도 유가의 ‘리’를 표상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월선’의 의미는 성리학적 이법이 제대로 구현되는 현실에 대한 갈망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delve the symbolic world constructed by <Wolseonheonsipyukgyeoga> by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e Wanshan(完山) incident of Shin Gyeyeong(辛啓榮) and exploring the connotation of the six kinds of enjoyment and the significance of Wolseonheon. Firstly, based on an insight into Shin Gyeyeong’s official life and his relevant literary works, it can be implied that the expression ‘officialdom’ in <Wolseonheonsipyukgyeoga> refers to the Wanshan incident that he was removed from his position. This only represents the individual misfortune he experienced rather than an evidence to suggest Shin Gye yeong’s total negation of the political reality. Secondly, the enjoyment of hermit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five kinds of enjoyment, namely, enjoyment of poetry in spring, enjoyment of leisure in summer, enjoyment of fields, being content with simple and delightful in the Taoism. The latter five enjoyable experiences all focus on the natural circling of seasons and the life of common people. In contrast, the enjoyment of hermit is based on the life of the poet himself and inspired by the freedom of the Hermit life. Lastly, the moon in the expression ‘the moonlight pouring on the ten thousand streams’, a representation of reason and sense, can be helpful to interpret the second half of <Wolseonheonsipyukgyeoga> which takes the moon as the center. Furthermore, Wolseon can be understood as taking the Confucianism as the basis of life. There fore ‘Wolseon’ means desire of reality that Neo-confucinon’s order was re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