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면앙정가>화자의 감성 발현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논의이다. 시인의 상상력으로 표현되는 <면앙정가>화자의 감성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의 감성에 동기 유발을 일으킬 수 있는 모방 가사를 써본 후, 새로운 가사 창작 이론으로 이어지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무엇보다도 기존 연구에서 <면앙정가> 전반부인 ‘물(物)’에의 감성적 완상과 후반부의 ‘아(我)’의 감성적 흥취를 노래한 점에 덧붙여 ‘아我’의 감성적 자각에 주목하였다. 즉 <면앙정가는 ‘물(物)’과 ‘아(我)’를 노래한 것으로 ‘물(物)’과 ‘아(我)’의 감성적 작용을 살핀 것이다. 따라서 시인이 작품에서 표현하고 있는 인간의 정신적, 육체적 활동을 수반하는 모든 성질의 상위 개념인 감성 발현을 화자를 통해 살핀 것이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문학작품을 통하여 작가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화자와의 대화를 통해 작품에 드러난 감성 작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학습자로 하여금 시인의 감성을 파악하고 시인의 입장이 되어 <면앙정가>를 랩 음악에 맞춰 노래하게 했다. 가사를 감성으로 접촉하게 하는 가장 자연스러운 단계로, 기존 가사를 노래해보는 시도에서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첫걸음을 뗀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악에 맞춰 가사 작품을 노래해보는 과정은 문학작품과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가사 문학과 세계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대하기 위해 <면앙정가>화자의 감성 발현과 가사 창작 이론에 대한 이 논의는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of Gasa through "Myeonangjeongong".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Myeonangjeongong" expressed by the sensual imagination of the poet, and based on this, aimed to discuss the communication process that motivates our emotions and leads to new creative ways. Above all, this study found that "Myeonangjeongga", which sang a state of ‘things-body unification’ (物我一體), was structured with the emphasis on 'the view of things 物' in the first half and the 'body view of body 我’ in the second half. That is to say, "Myeonangjeongong" sang the state of things-body unification, and the first half structured with the emphasis on the 'things 物 perspective', and the latter half was structured with a weight on the 'body 我 perspective'. Thus, it was possible to look at the emotional characteristic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all the properties accompanied by the mental and physical activities of the human being expressed in the work by the poet. Next, this study grasped the fact that it is possible to interact with the author while listening to the literary works and read the emotions of the author through dialogues.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singing "Myeonangjeongong" to catch up with the poet's thoughts and become the poet's position and adapt to the rap music which is popular to young people recently. Given the most natural step of getting Gasa in touch with emotion is to give it a try to sing it once, it is thought that trying singing is the first step of emotional communication. It is said that the process of singing Gasa works that you make along to the rap music is to be a standard example of emotional communication. In this sense, this discussion seems to suggest that we use "Myeonangjeongong" to expand our communication between Gasa literature and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