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디어 리터러시가 추구하는 제작 교육의 목표는 미디어 생산자의 입장에서 미디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스스로 경험하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정보의 선택과 배제가 이루어지고 미디어의 특정한 표현 형식이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미디어 제작이 일정한 기준에 의해 의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점을 학생들이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뉴스 제작 과정에 작용하는 선택과 배제의 기준을 ‘뉴스 주제 평가 기준’(‘뉴스 가치’), 그리고 ‘뉴스 자료 소스에 대한 평가 기준’의 두 가지로 구분하여 학생들이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사고의 과정을 구체화, 명료화, 단계화하는 방법을 구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인간의 사고가 컴퓨팅 사고에 의한 문제 정의, 분할, 알고리즘화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학생들이 이해되어야 할 미디어 평가의 기준을 명료화하고,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는 사고의 절차와 결과를 가시화하여 논의와 협의의 근거로 삼는 데 활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문제 해결 절차의 구조는 학습자의 미디어 제작 과정에 작용하는 의사 결정의 과정을 시각화하고, 이에 따라 학습자가 적용한 사고 과정과 결과를 교수자가 보다 쉽게 파악하여 학습의 본래 목표에 기초한 피드백을 제시하기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구안한 미디어 제작 교육의 절차에 관한 내용은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의 성찰을 위한 학습 데이터의 체계적 수집과 분석에 관한 연구를 촉발할 수 있을 것이다.


Media production pursu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aims to enable media producers to experience the process of making media and to understand how the selection and exclusion of information might be made and how specific forms of expression of media might construct meanings. This study aimed to incorporate computational thinking into media production education by devising, clarifying, and staging the process of thinking that students need to understand and apply the criteria of evaluating 'news values' and 'news data sources'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The structure of this problem-solving process is designed to visualize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affects the learner's media production process, and to enable the peers and the teacher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thinking process and outcome and use them as a basis for discussion and consultation. The contents of the process of media production education devised in this study may trigger a further study on the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learning data for the reflection of media literacy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