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에서 문화예술교육은 독특한 정책 개념이다. 미적 체험과 표현, 창의성, 감성과 연관한 예술교육과 인간과 사회에 대한 성찰, 문화 다양성, 소통에 관심을 두는 문화교육이 복합되어 개인의 내적 성장과 사회적 성장을 함께 추구한다. 2005년 문화예술교육지원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설립으로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일정한 성장을 이루었지만, 지역의 고유한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구축하거나 문화생태계를 안착시키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2019년 부산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을 대상으로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실태를 분석한 결과, 사업 비전과 목적의 재설정, 사업 기반 강화, 수요자 중심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운영단체의 지속적인 육성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무엇보다도 지금껏 참여자들의 사적 혜택에 집중해 있던 체계를 커뮤니티라는 공적 영역으로 확대하는 방향으로 인식을 전환해 나가야 함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을 위한 교육이나 예술을 통한 교육이 아니다. 따라서 지역 문화예술교육은 지역 기반 예술가를 지원ㆍ육성하는 소극적인 방식에서 나아가 사회 비판과 성찰, 공동체 활동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더욱 더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이다.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 unique policy concept in Korea; It is a complex combination of art education related to aesthetic experiences & expressions, creativity and emotions, and cultural education focuses on the reflection of people and society, cultural diversity and communication. Therefore, the concep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includes the growth of the individual and the growth of the society together. With the enactmen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rt & Culture Education Service, or Arte in 2005,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 was promoted in earnest, achieving a certain scale of growth. However, there was no progress in forming a local identity for each reg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cope dynamically with rapid changes in times and socie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ocial values and role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is paper, the Busan Kkoomdarak Saturday School of Culture and Arts was used as an example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pillover in the benefit system is necessary; from private benefits limited to participants of each projects to public benefits of the communit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play a social role of social criticism, reflection, and recognition and practice of community activities, and pay attention to community-bas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artists who practic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