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관동대지진을 전후하여 벌어진 두 학살 사건, 1922년 나카츠카와와 1926년 기모토의 조선인노동자 학살사건을 재구성하고 관동대지진 때의 학살과의 공통점에 착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나카츠카와 사건은 1922년 니가타현 나카츠카와 강 상류의 수력발전소 공사현장에서 일하던 조선인노동자 600여 명이 가혹한 중노동과 민족차별을 강요받아 적어도 12명이 사망 또는 부상당한 사건이다. 기모토 사건은 1926년 미에현 기모토의 터널공사현장에서 일하던 200여 명의 조선인노동자를 무장한 지역 주민들이 습격하여 2명이 사망, 수십 명이 부상당한 사건이다. 이 두 사건의 개요 및 조선인의 대응, 관동대지진 때의 학살과의 공통점 등을 고찰한 결과, 유언비어와 온갖 부정적인 표현으로 묘사되는 고정 이미지(‘불령선인’), 가해자 측의 폭력성과 폭력의 정당화, 자경단, 소방대원, 재향군인회, 청년회 등 주민자치조직을 비롯한 무장한 일반 주민이 조선인을 공격, 살해한 점, 가해에 대한 현지 경찰의 동참, 협조, 묵인, 당국의 사건 은폐 또는 축소, 그리고 식민지 조선인의 본질적 모순,이 여섯 가지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살은 식민지 조선인이기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비극이었기 때문에 이후에도 실제 사건 또는 학살에 대한 재일조선인의 두려움으로 계속되었다. 현재 학살의 역사와 기억이 왜곡 또는 삭제되려 하고 있고 학살 당시의 유언비어나 ‘불령선인’ 이미지는 아직도 일본사회에 남아 있다. 이러한 현실에 경종을 울리기 위해서라도 학살의 기억을 직시해야 할 것이다.


The commonalities of two slaughters before and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the reconstructed Nakatsugawa case in 1922 and the Kimoto case in 1926, a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 commonalities with the massacres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The Nakatsugawa case was a case in which at least twelve Korean workers who were working at the construction of a hydroelectric power plant upstream of the Nakatsugawa River in Niigata Prefecture were died or injured of being forced into severe hard work and ethnic discrimination, in 1922. The Kimoto case was an incident in which armed local people raided 200 Korean workers who worked at the tunnel construction site in Kimoto, Mie Prefecture. They killed two and injured dozens of Koreans in 1926. The summary of these two cases, the response of the Koreans, and the commonalities with the massacre during the Great Kanto Earthquake fixed images that were depicted in rumors and various negative expressions, violence and the justification of the offender, the fact that armed civilian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ttacked and killed Koreans, joining, coordinating, and acquiring local police for abuse, cover-up or reducing the cases of the authorities, and the inherent contradictions of colonial Koreans, These six issues have been confirmed in common. However, the massacre was a tragedy that inevitably occurred because the person was a colonial Korean. This continued afterwards with the fear of the Koreans in Japan regarding the massacre. The history and memory of the slaughter are currently being distorted, deleted, or erased, and the rumors of the time of the massacre and the negative image or expressions still remain in Japanese society. In order to be aware of the reality, we must face the memory of the massac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