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and analyse the cultural value scores of the 57 Islamic countries that were not included in Hofstede’s model. Hofstede conducted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studies about how values in the workplace are influenced by culture. His data covered more than 100 countries, and the study included the largest group of respondents of any cross-cultural value survey at the time. Given its popularity and the large number of countries encompassed, Hofstede’s model includes surprisingly few Islamic countri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analyse the cultural value scores of the 57 Islamic count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Islamic countries are all densely clustered in the collectivist and large power distance dimensions. Regarding the uncertainty avoidance and masculinity dimensions, the Islamic countries mostly have medium scores and are intensively clustered. Islamic countries are mostly clustered in the restrained and short-term orientation dimensions. The finding that the cultural distance among Islamic countries is much greater than that between Islamic countries and non-Islamic countries is interesting. We also summarized som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values of Islamic countries. Multinational corporations must seriously consider adjusting their management practice approaches to align with Islamic culture to maximize performance.


본 연구의 목적은 홉스테드의 문화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57개 이슬람 국가의 문화적 가치 점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홉스테드는 현재까지 수행된 문화가치관에 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가장 포괄적인 연구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초기에는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현재 100개 이상의 국가의 가치관 점수를 발표하고 있다. 이렇게 포괄적인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소수의 이슬람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57개 이슬람 국가를 대상으로 홉스테드 모형의 6가지 문화차원별 가치관 점수를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이슬람 국가들은 모두 높은 집단주의 경향과 큰 권력거리 차원에 밀집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불확실성 회피와 남성성 차원에 대해서는 이슬람 국가들은 대부분 중간 점수에 몰려있었다. 이 두 가지 문화차원에 대해서대부분의 이슬람 국가들은 동질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슬람 국가들은 대부분 절제되고 단기지향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흥미로운 점은 보통 이슬람 국가들은 동질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국가들 간의 문화차이가 이슬람국가와 비이슬람국가 간의 문화차이보다 더 큰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슬람 국가진출 다국적기업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슬람 진출 다국적기업은 이슬람을 하나의 동질적인 문화로 간주하여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기 보다는 문화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영관행의 수립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개인주의 문화차원에서 개인주의가 강한 문화에서는 개인의 성과를 강조하는 경영관행이 강조되어야 하지만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는 집단의 조화를 고려하는 관행의 설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