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국립한글박물관 소장 『유가사지론』 권20의 자토석독구결과 『유가사지론』 권66의 점토석독구결에서 자토와 점토를 구성하는 구결자, 구결점의 문자론적 특징과 체계를 살펴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들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권20에 사용된 구결자는 한자의 자형을 바탕으로 고안된 일반적인 표음문자이고, 권66에 사용된 구결점은 형태에 위치 정보가 결합하여 일정한 소리를 나타내는 특수한 표음문자라 할 수 있다. 구결자의 음가는 바탕으로 삼은 한자의 음이나 훈의 범위 내에서 자의적으로 결정되고, 구결점의 음가는 무표적인 단점의 음가(β)가 같은 위치에 놓이는 단점 이외 형태의 음가(α+β)의 후반부를 규정하되 형태 정보가 나머지 α를 결정하는 체계를 기본으로 한다. 권20의 자토구결과 권66의 점토구결은 토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자토와 점토가 크게 나뉘더라도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매우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자토구결 자료 중 『유가사지론』 권20에만 보이는 ‘’의 특이한 쓰임이 권66에서도 관찰되는 사례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本稿は、国立ハングル博物館蔵『瑜伽師地論』卷20と『瑜伽師地論』卷66から、各々の字吐と点吐を構成する口訣字・口訣点の文字論的特徴およびシステムを説明し、具体例を通して両資料の関連性を確認した。 卷20に使われた口訣字は、漢字の字形に基づいて作り出された一般の表音文字である。卷66に使われた口訣点は、形態に位置情報が結合して一定の音を表す特殊な表音文字と言える。そして口訣字の音価は、基にした漢字の音や訓の範囲内で恣意的に決定される。口訣点の音価は、無標である単点の音価(β)によって同じ位置に置かれる単点以外の形態の音価(α+β)の後半部が規定され、形態情報によって残りの α が決定されるシステムが基本となっている。 卷20の字吐口訣と卷66の点吐口訣は、吐の形式からは字吐と点吐に大きく分けられるが、内容からは非常に類似している。これは、字吐口訣資料の中では『瑜伽師地論』卷20のみに見える「」の独特な使い方が、卷66からも観察される例などを通して確認でき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