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무형문화재 정책 변화, 더 정확하게는 ‘지정 범주’의 확대로 인하여 그간 무형문화재로서 검토되지 않았던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를 지정 관리하는 문화재청의 정책 변화에 따라 부산시 또한 향후 부산시무형문화재 신규 지정변화 필요성이 있다. 이에 ‘동래 기영회’를 하나의 샘플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지금까지 국가 및 시도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연 및 기능을 무형문화재로 삼아왔지만, 최근에는 전통지식, 구전전통, 관습 등의 범주가 유네스코의 영향으로 추가되었다. 본격적으로 최근의 국가무형문화재에서 신규로 지정된 종목들은 이 분야들이며, 향후에도 이 분야의 지정이 활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하여 시도에서도 이러한 준비가 필요하다. 그러기 위하여 확대된 영역에 맞는 위원회 인적 구성과 예비 종목에 대한 리스트업(list-up)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동래 기영회는 1846년(헌종 12년) 노년의 동래부 퇴임 이서와 무임들이 조직하여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는 계(契)이다. 구체제가 무너지는 갑오개혁과 국권을 침탈당하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점차 공적 역할 감당하면서, 오늘날까지 동래 지역의 오피니언리더(opinion leader)그룹으로 지속되게 된다. 그 역할은 의례, 교육, 사회·경제, 문화 등 한 지역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치고 있다. 이런 동래 기영회의 역할은 새롭게 확장된 무형문화재 범주 중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에 부합됨을 밝혔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bring attention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change in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or, more precisely, the expansion of designated categories. As the policy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designates and manage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usan also needs to change the designation of n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located in the city. Thus, the discussion is based on the example of the “Dongnae Kiyounghoe(耆英會),.” Up to now, countries and cities have traditionally used performances and function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Recently, however, categories such as knowledge and practices concerning nature and the universe, oral traditions and expressions and social practices have been added due to the influence of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se categories have been newly designated 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earnest, and the designation of these categories is expected to be active in the future. This is why it is necessary for cities and provinces to prepare for future changes. To that end, the researcher stressed the necessity of listing the committee's human resources and the list of preliminary categories to the expanded area. Dongnae Kiyounghoe is a kye (契) that has continued to this day. It was organized in 1846 (King Heonjong’s 12th year) by Dongnaebu(東萊府)’s elderly retired Yiseo(吏胥) and Mooims(武任). The group eventually played a public role in the Gabo(甲午) Reform, when the old regime collapsed, a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dermining the sovereignty. It has continued to serve as the opinion leader group in Dongnae. The role of the group spans almost all sectors of the community, such as rituals, education, socio-economics, and culture. The role of the Dongnae Kiyounghoe was found to be in-line with “traditional life practices, including food, clothing, and shelter” among the newly expanded catego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