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관련 내용 분석을 통해 한국 다문화교육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비교 분석 대상을 중학교 사회 교과서로 선정한 것은 초등보다 중학교 교과서가 다문화교육과 관련하여 많은 콘텐츠를 다루고 있으며, 보다 폭넓은 다문화 내용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교과보다 다문화교육의 방향이 잘 나타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석 방법으로는 Bloom(1956) 의 학습목표분류법을 수정한 신목표분류를 이용하여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과서 내용 분석 준거 틀’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한국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다문화사회 내용은 독일, 오스트레일리아에 비해 여러 곳에서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독일과 오스트레일리아는 다문화사회 현상에 대해 단원을 만들어 소단원으로 세분화시켰으며, 다차원적 으로 수업내용을 진술하였다. 둘째, 한국 중학교 사회 교과서가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문화사회 현상에 대해 설명 위주의 내용으로 진술되어 있었다. 셋째, 한국 중학교 사회 교과서는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비해 다문화를 인종, 민족 등에 의해 만들어진 문화라는 식으로 진술하여 거시적인 차원에서 다문화를 접근하기 보다는 학습자가 편협한 시각을 가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넷째, 한국 중학교 사회 교과서는 독일과 오스트레일리아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비해 지식 차원에서 절차적 지식과 메타인지 지식이, 인지과정 차원에서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가 결핍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탐구문제의 경우에도 질문의 깊이가 다르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nd analyze secondary schools’ social studies textbooks (“textbooks” hereafter) on multicultural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 Germany and Australia. From this approach, we look to gain insights from countries wher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society have more matured hence to draw out some learning for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e reviewed literature research for multicultural educational policies of Korea, Germany and Australia and then compared the government`s policies on multicultural education of three nations. We a lso made a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of three nations. In particular, we identified that the textbooks encompass multicultural society and multicultural factors more directly than the primary schools’ textbooks. Also, they clearly show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an any other subjects. To analyze textbooks, we made 'The Matrix of Multicultural Education Framework'. The framework was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the three countries is similar, even though Korea, Germany and Australia have a significantly different history of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they have each distinct features. Whereas Korea deals with multiculturalism based on foreign workers and foreign married immigrated women, Germany focuses more on foreign workers. Australia, on the other hand, focuses multiculturalism from all aspects of the migrants. Second, Australian textbooks have the most contents on multiculturalism among them. On the other hand, Germany deals with population distribution in 16 states and many other things about problems associated with foreign workers. Korean textbooks give more emphasis on consideration for social minorities such as foreign workers and married immigrated women. They a lso handled North Korean defectors unde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ategory. Based on the matrix, we found that German and Australian textbooks deal all aspects of six cognitive domains of Bloom`s Taxonomy and four levels of integration of multicultural content which is not the case for the Korean textbooks. We suggest that Korean textbooks should expand their focuses to offer sufficient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so to accommodate the needs of the age culture of d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