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기업회계기준에서는 2011년 IFRS 도입 이후 단일 고객에 대한 매출액이총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해당 고객별 수익금액과 관련 사업부문의 명칭을주석으로 공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주요고객에 대한 매출집중도 정보는 투자자와 채권자등 재무정보이용자에게 재무성과나 위험분석에 있어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회계감사의 위험평가 및 효율성 측면에서도 유용한 정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관련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며, 외부감사인이나 규제감독기관의 관심도 낮아 관련 공시실태조사 조차도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고객의 매출집중도에 대한공시실태를 조사하고 공시품질을 분석하며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한 조사ㆍ분석결과와 그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투자자의위험관리 관점에서, 미국과 같이 사업보고서에서 주요고객의 명칭과 위험을 공시할 필요가있다. 둘째,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유가증권상장 및 코스닥등록 제조기업 중 10% 이상주요고객의 매출집중도의 공시대상 기업-연도 3,060개 중 주요고객별 수익금액과 비율 등을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적정히 공시한 기업-연도가 2,626개(85.8%)로 공시품질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주요고객 매출집중도 공시기준 중 사업부문 명칭에 대한공시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연도는 2017년 기준으로 42.9%나 되고 있어 구체적인모범 공시사례를 제시하여 공시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 넷째,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주요고객이 없는 경우에 ‘해당 없음’을 적극적으로 공시하여 정보이용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기준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주요고객의 매출집중도에 대한 공시유형(3개 Group의 8개 유형)을 활용하여 그 공시품질요인을 분석한결과, 감사인 규모나 자산규모가 클수록 또한 수익성이 양호할수록 주요고객 매출집중도의공시품질이 높아진다. 주요고객 매출집중도에 대한 주석공시의 개선을 위해서는 감사인과기업의 적극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요고객의 매출집중도에 대한 공시현황을 국내 최초로 조사ㆍ보고하며, 공시유형을 집단화(grouping)하여 공시실태와 공시품질요인까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시개선방안은 재무정보이용자가 경영자의 시각을 통해 주요고객에 대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보비대칭성을 줄이는데 공헌할 것이다. 향후 주요고객 매출집중도의 공시정보를 이용한 다양한 실증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IFRS in 2011, the Korean Accounting Standards requires disclosure of the existence of a major customer and the amount of sales to that customer if the firm’s sales to that customer amount to 10 percent or more of the firm’s total sales. Sales concentration information provides financial information users with useful information in financial performance or risk analysis. Nevertheless,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in Korea.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closure status of the customer concentration, analyze the disclosure quality and suggest ways to improve it.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found the needs for improvement of 1)disclosure practices on the customer names, the business segments related to sales concentration, and the related risks of major customers in the business report, 2)monitoring of disclosures by auditors and regulatory oversight bodies. We also found that the size of the auditor and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any affect the quality of disclosure. This study is the first in Korea to investigate the disclosure status of sales concentration of major customers and to analyze its disclosure quality factors by grouping disclosure types. Th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suggested i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ducing information asymmetry by enabling disclosure of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major customers from the management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