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에서는 현대중국어 유의어(synonyms) ‘和, 跟, 同, 與’를 대상으로 그 의미특징을 살펴보고, 의미지도모형(Semantic Map Model)을 활용하여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었던 ‘和, 跟, 同, 與’의 의미지도를 활용하여 표준중국어 ‘和, 跟, 同, 與’의 의미지도를 수정하고, 대응하는 한국어 조사 ‘와(과)’를 중심으로 그 의미특징을 함께 살펴보았다. 다음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에서는 먼저 의미지도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의미지도와 관련한 주요 개념들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둘째, 다음으로 본고는 사전과 말뭉치 검색을 통해 ‘和, 跟, 同, 與’에 대한 개사, 접속사의 의미항목을 정리하였다. 셋째, 본고에서는 앞서 분석한 ‘和, 跟, 同, 與’의 의미분류와 의미특징을 참고하여 선행연구 翟贇의 의미지도를 수정하였다. 먼저 본고는 翟贇의 의미지도에서 ‘관련’, ‘비교’, ‘비유’의 절점을 이동하였다. 즉, 통사적 대등관계, 통시적 발전, 인지적 분석을 통해 이들 절점 이동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였다. 아울러 ‘관련’, ‘비교’, ‘비유’의 의미를 ‘협동’의 절점에서 확장시켰다. 또한, ‘同’의 의미를 ‘비유’의미까지 확장시켰으며, ‘和’, ‘與’가 ‘서로 다른 층차의 명사 병렬’ 의미도 나타내어 본고에서는 이를 의미지도에 추가하여 수정하였다. 넷째, 마지막으로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 ‘和, 跟, 同, 與’와 대응되는 한국어 ‘와(과)’류(와(과), (이)랑, 하고)의 의미특징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한국어는 고립어인 중국어와 달리 교착어로 조사가 발달한 언어이다. 분석을 통해 일반적으로 개사 ‘和, 跟, 同, 與’는 한국어 부사격조사 ‘-와(과)’에 대응되었고, 접속사는 한국어 접속조사 ‘와(과)’에 대응되고 있었다. 또한 입말에서 주로 사용되는 ‘(이)랑’, ‘하고’의 의미특징 및 ‘와(과)’와의 차이점을 살펴보고, 중국어와의 차이점을 간단히 살펴보았다. 이 외에도 ‘와(과)’,‘(이)랑’, ‘하고’ 의미항목을 참고하여 의미지도에 나타내었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semantic features of Modern Chinese synonyms ‘和’, ‘跟’, ‘同’, ‘與’, and examine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language using the semantic map model. In this paper, the semantic map of the Modern Chinese ‘和’, ‘跟’, ‘同’, ‘與’ was modified using the semantic map of the previous study ‘和’, ‘跟’, ‘同’, ‘與’.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meaning and features of the Korean postposition corresponding to ‘와(과)’. First, this paper first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semantic maps and briefly reviewed the main concepts related to semantic maps. Second, we summarizes the meanings of the prepositions and conjunctions of ‘和’, ‘跟’, ‘同’, ‘與’ through dictionary and corpus search. Third, this paper revised the meaning map of previous study 翟贇 by referring to the semantic classification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和’, ‘跟’, ‘同’, ‘與’. Fourth, this article briefly examined the semantic features of Korean ‘와(과)’, ‘(이) 랑’, and ‘하고’, which correspond to contemporary Chinese ‘和’, ‘跟’, ‘同’, ‘與’. Unlike Chinese, which is an isolated language, Korean is a language that has developed postposition as an agglutinative language. Through analysis, the prepositions ‘和’, ‘跟’, ‘同’, ‘與’ corresponded to Korean adverbial case markers ‘와(과)’. The conjunctions also corresponded to the conjunctive postpositional particles ‘와(과)’. In addition, we examined the semantic features of ‘(이)랑’, ‘하고’, which are mainly used in the spoken language, and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와(과). In addition, we briefly looked at the differences from Chinese. And the semantic maps are described by referring to the meanings of ‘와(과)’, ’(이)랑’, and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