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주도는 13~14세기에 대몽골(원)제국의 지배를 받은 적이 있어서 언어와 풍습 등 일부 제주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있다. 하지만 15세기부터 600여 년 동안 제주도와 몽골은 완전히 교류가 단절되었고, 그 사이에 두 지역에서는 정치적 변화에 따른 문화변동도 있었다. 1990년 한․몽수교가 이뤄지면서 한국과 몽골 사이에 교류가 재개되었고, 그 이후 제주문화에 몽골이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다. 나비박사로 유명한 석주명(1908~1950)은 1940년대 초에 내몽골 동부지역을 여행하고 제주도에 2년 동안 거주하면서 두 지역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제주도의 전통문화에 몽골적 요소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근대 이후 첫 한국인이다. 하지만 그는 전문 인문사회학자나 인류학자가 아니었기 때문에 제주도와 몽골에 관련된 진술들 가운데는 오류들도 더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남긴 자료들은 제주도와 몽골의 언어와 풍습을 비교 연구하는 계기를 마련해주는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제주도의 전통문화 속에 몽골적 요소들이 남아 있다면, 그것은 13~14세기 몽골문화의 흔적일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제주인에게는 제주문화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중요 자료가 되고, 몽골인에게는 잃어버리고 잊힌 몽골의 전통문화와 정체성을 복원하는 데 기여할 자료가 될 것이다.


Jeju Island was dominated by the Mongolian Empire in the 13th~14th centuries. Therefore,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However, for 600 years from the 15th century, Jeju and Mongolia were completely disconnected. In the meantime, there were cultural changes in both regions due to political changes. In 1990,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began again as diplomatic relations normalized between Korea and Mongolia. Since then, research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ing on the influence of Mongolia on Jeju culture. Seok Joo-Myung (1908-1950), famous for butterfly expert, traveled to eastern Inner Mongolia in the early 1940s, and lived and studied in Jeju Island for two years. He has studied and compared the languages and customs of the two regions. He is the first Korean since modern times to study and focus on Mongolian elements in Jeju's traditional culture. However, because he was not a professional human sociologist or anthropologist, there are some errors in the statements concerning Jeju and Mongolia. Nevertheless, the data left by Seok Joo-Myung are basic data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ompare and study the language and customs of Jeju Island and Mongolia. If Mongolian elements remain in the traditional culture of Jeju Island, it will be trace of Mongolian culture in the 13th~14th centuries. And if we can confirm it, it will be an important data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ocess of Jeju culture for Jeju people, and it will be a material to contribute to restoring the forgotten traditional culture and identity of Mongolia for Mongolia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