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19년 송환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홍콩시위는 홍콩당국과 시민간의 갈등관계를 넘어서 반중 민주화 시위로 연계되어 진행되고 있다. 중국이 홍콩의 민주화를 수용하지 않으면 홍콩의 미래가 없다는 인식하에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시위는 단순히 송환법에 국한되지 않고 1997년 홍콩 반환이후 홍콩의 중국화 전략, 경제 하락 등을 토로하고 있어, 향후 중국의 대처와 홍콩인들의 인식 변화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발생한 홍콩시위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중국 당국이 홍콩의 주권을 회수하면서 실시하고 있는 정책인 일국양제에 대한 실효성 여부와 더불어 향후 일국양제의 전망, 홍콩의 미래 및 대만에의 적용여부에 대한 문제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논문의 목적과 동기라고 볼 수 있다. 일국양제는 덩샤오핑이 국가의 통일과 실지 회복을 위해 야심차게 제시한 정책으로 현재까지 이를 대체할 만한 정책을 제시하고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홍콩시위와 일국양제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Hong Kong Protests,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Offender Extradition Act in April 2019, is being transformed into anti-China democratization in the conflict between Hong Kong authorities and citizens. Hong Kong people recognize that if China does not accept Hong Kong's democratization, there is no future for Hong Kong. The Hong Kong Protests continue to this year by 2020, and the Hong Kong Protests are developing, not limited to the Offender Extradition Act. In other words, after Hong Kong's return in 1997, China's strategy of Hong Kong's Chineseization and economic downturn have been argued. In addition, attention is focused on China's response and changes in Hong Kong's perception.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cent Hong Kong Protest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hina's claim for one country two systems, the prospect of One country two systems policy, the future of Hong Kong and its application to Taiwan. The purpose and motivation of this paper. One country two systems is a policy ambitiously proposed by Deng Xiaoping for the reunification and real recovery of the country. It can be provided as data that actively copes with changes i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