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峿堂 李象秀(1820-1882)는 19세기 조선의 老論系 문학가로서 唐宋派 문학론의 대가이다. 그는 단지 문학론을 습득한 데 그친 것이 아니라 한문학 입문자를 위한 독서법을 창안하고 문장지침서를 집필하였다. 「孟子筆程」이 그 대표적 사례이다. 「孟子筆程」은 唐宋派 문학론을 활용한 독서법을 『孟子』의 문장 분석에 적용한 문장지침서로서 전근대 문장학습의 정수가 집약되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孟子筆程」은 전근대 지식인의 문장학습의 이론과 실제를 확인할 수 있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상수는 『孟子』의 문장을 분석한 결과 여러 창작기법이 활용되어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고는 창작기법 활용의 우수한 사례를 제시하여 그 기능적인 의의를 설명함으로써 독서와 창작의 구체적 지침까지 마련해 주고자 하였다. 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뉜다. 중심어를 통한 구성의 장악, 구성을 통한 주제로의 지향, 표현을 통한 몰입의 증진이 그것이다. 즉 『孟子』 7편의 전체 구성을 장악하는 중심어의 사례로 「梁惠王」 1장(上)의 “何必曰利 亦有仁義而已矣” 구문을 분석하고, 주제를 드러내는 구성의 설정과 전개의 흐름의 사례로 「梁惠王」 7장(上)의 중심어ㆍ골자ㆍ본의, 「公孫丑」 2장(上)의 대주제ㆍ중심어ㆍ결어를 분석하며, 효과적으로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을 활용한 사례로 「梁惠王」 1장(上)의 설의ㆍ「梁惠王」 7장(上)의 억양ㆍ‘推恩’의 반복ㆍ「滕文公」 4장(上) ‘勞心’의 반복과 대조ㆍ「梁惠王」 2장(上)과 「梁惠王」 11장(下4)의 어감ㆍ「公孫丑」 19장(下10)의 생략 등을 분석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상수는 唐宋派 문학론을 활용한 독서법을 창안하고 그 구체적인 실천 방도를 제시해 주었다. 따라서 『孟子』에 대한 이상수의 文法은 시문의 암기와 주해의 답습으로 인해 독해력이 저하된 당시 문단의 폐해를 극복할 대안을 제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Sang-Soo Lee (1820-1882) is a successor to the schooling of no-ron group , and attempts to review Zhu Xi's annotation for Zhu Xi's widely-accepted theory explanation. The singularity is that it attempts a rhetorical analysis of the scripture sentences. The fact that attempting a full-scale analysis by considering Mengzi as a literary text not only helps to understand Mengzi's rhetoric, but also helps to check the influence of literature on the late Joseon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atus of Mencius rhetoric of Sang-Soo Lee through the case of Analytical Review of 『Mencius Writing Process』 and to identify its significance. Lee Sang-soo found a way to complement Zhu Xi's annotation in the literature theory of Tang-Song style . But instead of following it, it develops and leads to new discussions. It is to accept the organic analysis method of organization and accordance of Zu Zhi and to give a more reasonable view by paying attention to the structure of the whole of Mengzi or whole chapter. In order to effectively convey the theme of the work and the intention of the author, Lee Sang-soo attempts to analyze the literature by considering the text of the text organized organically as a whole and its parts. This can be confirmed from the analysis of the composition and response of the sent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sition and the nuance. There are some representative cases, in order to grasp the composition of the whole work, the concept of organization, 'main meaning,' 'brain,' 'core', 'intonation', etc. was used, and in order to grasp the organicity between sentences and sentences belonging to a specific paragraph, to grasp the author's intention by taking the difference in nua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tone between similar sentences. Accordingly it can be considered that his such endeavor reflected his sufficient absorption of influence from no-ron style trend by accommodating Tang-Song style academic tradition which understood such sentences as organic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