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화편 『파르메니데스』는 2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는 이데아론 비판을, 2부는 연습으로서의 ‘하나’에 대한 변증법적 탐구를 다룬다. 본 연구는 1부의 이데아론 비판 중 ‘제 3인간 논변’ 분석을 토대로, 1부의 이데아론 비판의 의미를 밝히고 그를 통해 2부의 변증법적 연습에 대한 해석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제 3인간 논변’은 큰 개물들에 대응하여 어떤 하나의 동일한 이데아 즉 큼의 이데아가 존재한다는 파르메니데스의 이데아론 규정으로 시작된다. 하지만 파르메니데스는 이러한 플라톤의 초ㆍ중기 이데아론의 규정에서 ‘영혼의 바라봄’을 통해 큰 개물들과 큼의 이데아를 엮어 새로운 이데아를 만들어 내고, 이러한 영혼의 바라봄이 무한하게 반복될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무한한 큼의 이데아들을 산출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파르메니데스가 제시한 무한소급 문제를 ‘사유’로 규정함으로써 무한 소급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하지만 파르메니데스는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사유’가 곧 이데아와 동일함을 보이며 그의 주장을 반박하고, ‘제 3인간 논변’은 아포리아로 남게 된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은 이러한 이데아의 ‘무한소급’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 3인간 논변에 숨겨진 플라톤의 선행 전제를 찾아 그의 논리적 오류를 밝히고자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석적 접근은 무한소급 문제를 ‘사유’의 문제로 전환시킨 플라톤의 의도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제 3인간 논변’의 무한소급 문제를 기존 학자들의 접급방식이 아닌 ‘영혼의 바라봄’과 관련하여 해석한다. 그리고 이데아의 무한 소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크라테스가 제시한 ‘사유’와 이데아의 관계를 분석하여 ‘제 3인간 논변’의 아포리아가 사유와 이데아의 무구별성에 의한 것임을 밝히고, 대화편 『파르메니데스』 2부의 해석 역시 이러한 관점 위에서 탐구되어야 할 것임을 보인다.


The dialogue Parmenides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Forms, and the second part deals with a dialectical investigation of ‘one’ as practic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criticism of the Theory of Forms in the first par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hird Man Argument’ and prepares an interpretive framework for the dialectic practice of the second part. The ‘Third Man Argument’ begins with Parmenides’ definition of the Idea that there is one equal Idea, or Largeness, corresponding to large things. Parmenides, however, intermingles large things and Largeness through ‘seeing with the soul’ to create a new Idea, and from this ability of the soul Idea of Largeness can be infinitely repeated. In this way Parmenides shows that Idea is not one but infinite in number. But Socrates defines these infinite Ideas as ‘thought’, in order to escape from the infinite regress problem. But this objection of Socrates is directly refuted by Parmenides showing that the ‘thought’ is identical with Idea. Therefore the ‘Third Man Argument’ remains still as an unsolved Aporia. This study defines the cause of the infinite regress of the ‘Third Man Argument’ as the ‘seeing with the soul’ and compares it with the concept of the soul that Plato explains in the dialogue Politeia.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the association between Idea and ‘thought’ presented by Socrates to solve the infinite regress problem.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that the Aporia of the ‘Third Man Argument’ is due to indiscrimination of thought and Idea and asserts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second part must be started from this stand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