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research explores three types of feedback for a large writing course. Draft revision is an essential step for students who need inspiring experiences to overcome the intimidation of writing. Through an ongoing process of revision, students realize that “seeing again” does improve their essays. In the writing class, I organized three steps for active revision: peer-review, instructor’s review, and self-revision. All three steps were conducted in sequence: students wrote the first draft and had a peer-review session. Through the peer-review process, students gained a critical viewpoint and better evaluated their own essays. The peer-review activity reminded students of the reader’s presence in writing. Students revised their essays based on the comments from the peers and the instructor. Finally, they were asked to revise their first draft and wrote a Writing Process Report at the same time. As meta-writing, the Writing Process Report sets for a plan and a goal of a final draft. Such revision processes promote students’ involvement—active and interactive self-revision. That is, well-designed peer review and self-revision activities ensure students’ self-initiated and spontaneous engagement in writing.


이 글에서는 글쓰기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이 학생의 주체적인 수정을 유도하여 글의 완성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주체적인 수정은 글쓴이가 ‘자신의 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능력’과 ‘독자에 대한 인식 능력’을 기반으로 외부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스스로 수정계획을 세우고 글을 완성하는 활동이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은 초고를 작성한 후 <자기첨삭>을 하기 전 <동료첨삭>을 하고 <교수자첨삭>을 받았다. 이를 통해 <자기첨삭>의 단점인 객관적 평가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독자의 존재를 인식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어지는 <자기첨삭>단계에서는 <문제해결보고서>작성을 병행하였다. 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초고 작성 과정을 돌아보며 수정계획을 세우고, 완성된 글에 대한 재고(再考)를 통해 글쓰기 경험에서 얻은 바를 다음 글쓰기를 위한 지식으로 확립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학생 글의 ‘수정 전’과 ‘수정 후’ 및 문제해결보고서 내용을 살폈는데, 글의 주제가 명확히 드러나고 단락 간의 내용이 긴밀하게 연결되는 변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