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교육종단연구 1차∼3차 자료를 활용하여, 부산형 혁신학교인 부산다행복학교 초등학생의 국어·영어·수학 학업성취수준을 일반학교와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업성취수준 격차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를, 학업성취 수준 초기치(시작점)와 성장률 분석을 위하여 선형다층성장모형을 각각 활용하였다. 또한 부모 학력 수준(고졸 이하와 4년제 졸 이상)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동일하게 다행복학교와 일반학교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행복학교의 학업성취수준은 세 교과에서 모두 일반학교보다 매년 낮지만, 향상도는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성장모형 분석에서도 일반학교의 높은 초기치, 그러나 다행복학교의 높은 성장률이라는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 부모 학력별 차이의 경우, 학교 유형과 상관없이 고졸 이하 표본은 4년제 졸 이상 표본보다 모든 교과에서 낮은 초기치를 보였다. 그러나 성장률의 경우, 고졸 이하 부모를 둔 다행복학교 학생들이 국어와 수학 교과에서 일반학교의 동일 집단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행복학교가 부산 지역에서 학교혁신 모델로서의 지속가능성과 필요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mpirically explored the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English, Mathema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rolled in Busan innovation school called Dahangbok Schools, using the first three waves(2016∼2018) of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present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erms of the achievement gap over time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and multi-level linear growth modeling to analyze the initi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rate of growth in academic achievement. Also, this article analyzed the academic achievement by parental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or lower vs. 4-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equit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enrolled in the Dahangbok Schools was, on average, lower than those of students enrolled in general schools in all the subjects each year. However, the Dahangbok Schools showed a higher degree of improvement in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analysis of multi-level linear growth modeling confirmed these findings. Academic achievement’s initial level appeared to be higher for general schools, but the rate of growth higher for the Dahangbok Schools. On the other hand, students with parents with secondary education or lower showed a lower initi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an those with 4-year college degree or higher in all the subjects regardless of type of school. However, students with parents with secondary education or lower enrolled in the Dahangbok Schools showed the highest growth rate in Korean and Mathema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