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고 이 경로에서 성별로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 사회적 불안, 충동성, 스마트폰 과의존 변수에 관련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첫째,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특성 및 공감능력, 사회적불안, 충동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중 공감능력은 스마트폰 과의존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었으며, 사회적불안과 충동성은 스마트폰 과의존을 높이는 방향으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이 영향요인들이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경로에서 성별 조절효과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의 강화요인과 억제요인에 대한 이론적 규명과 남녀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므로 청소년 스마트폰 과의존의 대안에 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s’ smartphones over-depende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o verify that there is a difference by gender in moderating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pathy, social anxiety, and impulsiveness in adolescents were influencing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them, empathic a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uppressing dependence on smart phones, while social anxiety and impulsivity had an influence on increasing smartphone dependence.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oderating effect on smartphone over-dependence by gender.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sented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lternatives to youth smartphone over-dependence, as it validates theoretical findings and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factors for enhancing and inhibi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on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