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화적 속성을 공유하는 교육 내용으로서 논증과 교육 방법으로서 협력학습의 교실 교수·학습 적용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성찰 태도의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유사 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을 나누어 협력학습 활용 여부에 따른 교육적 개입의 효과 차이를 살펴 보았으며, 학문 목적 의사소통에 일상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대학생 집단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교육적 개입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별도로 설정하여 실험집단, 대조집단의 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협력학습 활용 여부에 관계 없이 논증을 가르치는 것의 교육적 효과는 의사소통 성찰 태도의 하위 구인 가운데 “전제 성찰”에서, 협력학습을 활용하여 논증을 가르치는 것의 교육적 효과는 “내용·과정 성찰”과 “전제 성찰”에서 각각 유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 학습 맥락에서 청중을 외면화·실체화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how argumenta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which share a dialogicality, contribute to improving undergraduates’ reflec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by apply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By divid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ntervention was examined depending on whether collaborative learning was used or not; furthe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degraudates familiar to academic communication, a control group without intevention was set up and compared with those two groups. The result shows that the effect of teaching argumentation without us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significant in “premise reflection” among constructs of reflective attitude toward communication, whereas the effect of teaching argumentation using collaborative learning is significant in “content and process reflection” as well as “premise reflection.” The importance of externalizing the audience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has been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