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추론적 이해 능력은 읽기 이해 능력의 측정에 중요한 지표가 된다. 추론적 이해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읽기 수준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읽기부진을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는 한정되어 있어 중등학생의 추론적 이해 능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중등학생을 위한 추론적 이해 능력 검사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추론적 이해 검사는 연결 추론과 정교화 추론의 2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어휘 의미 추론, 핵심 내용 추론, 인과관계 추론, 생략 정보 추론, 사건 추론, 인물 정서 추론의 6가지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빈칸 메우기 검사 유형의 총 20문항으로 검사 도구를 구성한 후 앵고프 방식에 따라 읽기부진 진단 기준을 설정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경기․인천 지역의 일반계 중학교 2학년, 659명을 대상으로 실시였다. 그 결과 이 검사 도구의 신뢰도는 .807로 높은 편이며 난도는 –1.359로 쉬운 편이고, 변별도는 1.407로 높은 편이다. 이후 후속 연구에서는 추론적 이해 능력을 바탕으로 한 보다 많은 문항을 개발하고 중학생의 다른 학년 및 고등학생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ssessment to measure the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diagnose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ies. The assessment of the students' ability to inferential comprehension was set up as six sub-areas based on two factors: Two factors is bridge inference and elaboration inference. Bridging inference consists of word meaning inference, main idea inference,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inference, omitted information inference. Elaborative inference consists of event (in narrative text) inference, and emotion of character(in narrative) inference. This assessment consisted of 20 questions based on the Close test. and the reading level was set according to the Angoff method. The reliability of this test tool is .807, which is high in real time for 659 second grade students in general middle schools in Gyeonggi and Incheon using the developed assessment tool. In addition, the difficulty is easy to -1.359, and the discrimination is 1.407. In the future, more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further studies for other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