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과 경력단절위험 간의 관계에서 신체둔화행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그리고 이들 간의 관계를 자녀 문제행동이 조절적 기능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모형을 분석할 수 있는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알고리즘을 Mplus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 신체둔화행동은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과 경력단절위험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신체둔화행동에 대한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의 효과는 자녀 문제행동이 높을수록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기혼 여성의 부부갈등이 신체둔화행동을 통해 경력단절위험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자녀 문제행동이 많아짐에 따라서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자녀 문제행동을 만2세~만5세 유아를 키우는 취업기혼 여성과 담임교사가 관찰하여 질문지를 측정하여 타당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었으며, 향후 성차에 기반 하여 취업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촉진, 아버지 양육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physical relaxation behavior has a medial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areer breakdown risk of married women, an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has a controlling function. In this study, a controlled medium effect verification algorithm for analyzing the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utilized as a Mplus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body slowdown behavior was found to be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areer breakdown risk of working wome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hild problem behavior, the greater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on the mother's body relaxation behavior. Third, the effect of marital conflict among working women on career-shortening risks through body-degrading behavior is found to be greater with more child-related behavior. The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act of child problem was observed by working women and teachers raising infants aged 2 to 5 to measure questionnaires and suggested the need to develop a program for promoting economic activity for married women based on future gender dif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