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010년대에 이루어진 1990년대와 2010년대의 학생운동 경험 구술을 대상으로, 각 구술에서 ‘우리’가 그려지는 양상의 차이와 그 차이를 만들어낸 배경으로 2010년대의 조건이 만들어낸 일상적 경험의 누적을 주목한다. 2010년대에 채록된 1990년대 학생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당시의 학생운동 문화에 대한 거리감이다. 1990년대에 대학생활을 경험한 구술자들의 말 속에서 당시 대학의 학생운동 문화는 사적 관계를 타고 이루어지며 굳이 설명할 필요도 없이 ‘자연스러운’ 것으로 여겨졌는데, 동시에 그 ‘자연스러움’은 그것이 구술되고 있는 2010년대의 맥락에서는 ‘부자연’스럽거나 ‘이상한’ 것으로 이야기되며 현재의 구술자와는 일정한 거리감을 지닌 경험으로 의미화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90년대의 경험이 2010년대에 구술되고 있는 조건과 결부되어있다. 구술자들에게 과거의 경험을 구술하는 ‘현재’는 ‘촛불’ 이후이자 ‘강남역’ 이후로 설명되었고, 그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세계인 듯 묘사되며 자신의 과거 경험으로부터 비판적 거리를 발생케 한 계기로서 위치했다. 균질한 ‘우리’를 의심케 하는 이 질적 변화는 무엇보다 한국사회에서 젠더 이슈가 가장 커다란 화두였던 2010년대 중반 이후를 살며 새로이 체득된 젠더적 감각에 기반을 둔다. 2010년대의 사회운동 경험에 관한 구술에서는 ‘우리’의 구성이 더 이상 어떤 공통성을 공유하는 이들의 공동체가 아니라 수많은 다름에도 불구하고 결집한 개인들과 같이 이해된다. 그리하여 2010년대의 학생운동 구술은 이런 것을 이미 일상의 감각으로 체화한 이들의 경험이 드러난다. 이들이 구성한 ‘우리’는 사적 관계와는 무관하거나 무관해야 하는 것이었고, 동질성이 가장 두드러진 집단으로 여겨지지도 않았으며, 그래서 시위 당시와 그 자리 바깥에서까지의 ‘나’를 설명할 수 있는 무엇도 아니었다. 관련 경험이 내내 조심스러운 태도로 구술되었던 것도 그런 맥락에서였다. 이는 결국 ‘학생운동’, 나아가 사회운동과 ‘우리’로 결집하는 감각을 새로이 질문하고 이해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운동의 주체가 과연 ‘누구’인가를 묻는 일의 효용을 질문한다. 곧, 운동에서 고정된 ‘우리’라는 정체성을 규정하는 일의 필요성과 의미를 질문한다. 그리하여, 어떤 고정된 위치나 좌표가 과연 누군가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는 것인가를 질문한다.


The article focuses on the student activism experience of the 1990s and 2010s and on the accumulation of everyday experiences created by the conditions of the 2010s against the backdrop of differences in how the composition of ‘we’ is portrayed in oral narrative. What stands out in the 90s oral narratives on student activism experiences, which were compiled in the 2010s, is the distancing of the culture of student activism at that time. In the words of speakers who experienced university life in the 1990s, the culture of student activism at the university was created through private relationships, and was, needless to say, considered ‘natural’.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natural’ is said to be ‘abnormal’ or ‘strange’ in the context of the 2010s in which it is being talked about, and is meant to be an experience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resent speakers. This aspect is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s under which the experience of the 90s is being described in the 2010s. The present, which explains past experiences to speakers, was explained after the 2016 candlelight protest and Gangnam Station femicide protest, and is described as a world that is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before, and is located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 critical distance from past experiences. This qualitative change, which raises suspicions about the homogenous “we”, is based on a newly acquired sense of gender sensitivity, living since the mid-2010s, when gentler issues were the biggest topic in Korean society, among others. In the 2010s, the composition of ‘we’ is no longer understood as a community of people who share any commonality, but as individuals who unite despite numerous differences. This reveals the experiences of those who have already embodied this in their everyday senses in the 2010s. The ‘we’ they formed should have nothing to do with private relationships, nor was homogeneity considered the most prominent group, so it was nothing that could explain the ‘me’ at the time of the demonstration and outside of the venue. It was in that context that the relevant experience was described in a cautious manner throughout. This, in turn, raises the need to ask and understand a new sense of student activism and, moreover, social movements and the sense of unity as ‘we’. It should also be asked who is the main body of the movement and what is the use of asking it. Soon, the need and meaning of defining the fixed identity of ‘we’ in the movement should be questioned. Therefore, it should be asked what fixed positions or coordinates can really represent someone’s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