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 검증된 중재프로그램의 학교 현장 적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통합교육 상황에서 특수교육대상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활동의 참여(engagement)를 종속변인으로 한 중재 프로그램의 ‘참여’ 변인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증거기반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고려한 WWC 표준 활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관련 단일대상연구의 연구 방법론적 시사점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참여’에 대한 조작적 정의가 연구마다 달라 연구간 비교분석 및 검증을 실시하기 어려웠으며, 둘째, WWC 표준의 기준에 ‘충족’으로 판단되는 연구는 36개 중 6개이었다. 결론적으로, 특수교육대상 학생의 학교활동의 ‘참여’의 향상을 위한 검증된 중재프로그램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보다 명확한 종속변인의 정의를 사용해야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증거기반실제에 기반을 둔 체계적인 연구 검증 절차 및 기준 마련을 위한 국가 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interest in on-site adaptation of recently validated intervention programs, so that 'engagement' variables in intervention programs, which are based on engagement in school activ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are included in the context of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related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stem and conducting meta-analysis using the WWC standard considering Evidence-Based Practice. As a result, first,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engagement' differed from study to study, and it was difficult to conduct comparative analysis and verification between studies. Second, six out of 36 studies judged 'satisfaction' based on the standard of WWC standard. . In conclusion, a proven interven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 'participation' of schoo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to use a clearer definition of dependent variables and review systematic research based on evidence-based practice appropriate to the domestic situation. National efforts to establish procedures and standards are required.